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韓제조업 투자, 베트남 뜨고 중국 지고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6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韓제조업 투자, 베트남 뜨고 중국 지고
AD


[아시아경제 이정민 기자] 우리나라 제조업 해외직접투자의 중심이 중국에서 베트남으로 옮겨가고 있다. 세제 혜택, 저렴한 인건비가 베트남의 경쟁력이 된 것으로 분석된다.

21일 한국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제조업의 해외직접투자에서 중국 비중은 27.6%를 기록해 2000년대(44.5%) 대비 17%포인트 가량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베트남의 비중은 5.7%에서 17.7%로 12%포인트 확대됐다.


제조업 투자 업종도 변화하고 있다. 중국으로 투자는 과거 저임금 활용을 통한 노동집약산업 위주에서 최근 고부가 산업으로 비중이 확대된 모습이다. 90년대 중국 주력 투자업종은 전자부품(23.4%), 비금속(9.0%), 자동차(8.1%), 섬유(7.8%), 의복(6.9%) 순이었으나 최근 3년간 전자부품(29.5%), 자동차(22.6%), 전기장비(10.5%) 등의 비중이 높아졌다.

베트남 투자는 과거 섬유제품(28.3%)과 전자부품(26.3%) 두 업종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으나, 최근 전자부품(29.8%)의 비중 확대와 더불어 의복(10.1%), 섬유(8.6%), 고무제품(7.4%), 전기장비(6.0%) 등으로 투자 업종이 다변화 되는 양상이다.


한경연은 중국에서 베트남으로 투자 지도가 이동하는 것은 양국의 외국인 투자 환경 및 정책 변화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추광호 한경연 일자리전략실장은 “중국 내 외투기업 우대 축소와 노동비용 상승 등으로 중국 투자가 줄어들고, 각종 우대혜택을 늘리고 있는 베트남과 같은 신흥국으로 과감한 투자가 늘고 있는 추세"라고 말했다.


중국은 2008년부터 자국기업(33%)에 비해 유리했던 외자기업의 법인세율(15%~24%)을 첨단산업 등을 제외하고 25%로 단일화했다. 이외에도 저부가가치,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가공무역 관련 투자를 제한하면서 투자 금지·제한 품목을 확대하고, 중국 정부의 소득분배 개선 조치로 인해 최저임금 등 노동비용이 꾸준히 상승한 것도 투자 환경 악화 요인이다.


반면 베트남은 첨단기술 산업분야에 대해 4년간 법인세 면제 혜택(이후 9년간 50% 감면)을 주고, 일반기업의 외국인 투자한도도 철폐했다. 또한 외국인 투자 가능분야 제한과 외국인의 베트남 내 부동산 취득요건을 완화하고, 임금이 중국의 2분의 1 수준으로 낮아 베트남 투자를 촉진하고 있다.


추 실장은 “글로벌 경기변동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한 생산기지 다변화 전략을 마련하고 규제 개혁을 통한 국내 투자 여건 개선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이정민 기자 ljm101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