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탁류청론]원가절감에 매달리다 위기맞은 車산업을 보라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5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탁류청론]원가절감에 매달리다 위기맞은 車산업을 보라 이동주 중소기업연구원 상생협력연구본부장
AD



최근 자동차 산업의 위기는 우리나라 산업구조에서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거래구조 문제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대기업 중심의 급격한 경제성장을 추진하면서 다수의 협력중소기업이 대기업에 부품을 공급하는 피라미드식 하도급 구조를 형성했다. 대기업은 중소기업의 원가를 파악해 여기에 적정 이윤을 포함하는 식으로 납품단가를 결정했다. 협력중소기업은 항상 단가인하에 시달려 왔다.

자동차 산업이 호황이어도 그 성과를 대기업과 함께 누리지 못했고 낮은 수익성으로 연구개발을 통한 경쟁력 강화에 투자하지도 못했다. 자동차 산업이 전기자동차, 자율주행차 등 지금과는 다른 모습으로 발전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중소기업들은 미래에 대비할 여력을 갖지 못했다. 자동차 산업의 위기는 산업구조적 문제이며 대기업과 협력중소기업과의 거래관계의 문제에 기인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대기업과 협력 중소기업간의 거래관계를 개선하기 위한 협력이익공유제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다. 협력이익공유제는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중소기업 상호간, 위탁과 수탁기업간 협력이익을 재무적 성과와 연계해 사전에 약정한 바에 따라 공유하는 계약모델이다. 협력이익공유제가 널리 확산된다면 대기업과 중소기업간의 수직적 하도급 거래관계가 보다 수평적이고 협력적 관계로 바뀌어 나가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한다.

정부는 협력이익공유제를 도입하는 기업에게 세제혜택 등을 부여하기 위해 법제화를 추진하고 있다. 협력이익공유제의 도입을 대기업이 의무적, 강제적으로 추진하기보다는 자율에 맡기고 있다. 업종별로 대기업과 중소기업간의 협력관계가 상이한 점이 있기에 업종 특성에 맞게 도입을 유도하는 셈이다. 정부는 협력이익공유제를 도입한 대기업에게 손금인정 10%, 법인세 세액공제 10%, 투자상생협력촉진세제 가중치 적용 등 세제 3종 패키지 지원을 약속하고 있다. 이외에도 정책자금 우대나 정부 R&D 평가 우대 등의 인센티브도 마련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대기업에서는 협력이익공유제 도입에 큰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법제화는 결국 정부가 대기업에게 협력이익공유제의 도입을 강요하는 것이며, 협력이익공유제는 대기업의 이익의 일부를 협력중소기업에게 나누어주라는 의미이기에 반(反)시장주의적 접근이라는 것이다. 최저임금 인상과 주52시간근무제와 같이 정부의 과도한 개입이 시장의 자율성을 침해하고 기업 활동을 위축시킨다는 대기업 주장의 요지이다.


그러나 자동차산업의 위기에서 보듯이 대기업과 중소기업간의 협력관계를 원가절감만을 위한 형태로 존속시키기는 이제 어렵다. 4차 산업혁명 등 다가올 미래는 기업간 수평적 협력을 요구하고 있다. 대기업이 모든 기술적 지식을 보유하고 협력 중소기업이 생산하는 부품을 값싸게 조달해 완성차를 조립하는 형태로 존속하기 어렵다. 전기자동차, 자율주행차는 다양한 분야의 기술과 지식을 필요로하며 기술발전의 속도도 빠르다. 대기업 1 개사가 이 모든 것을 통제하기 어렵다. 수평적 협력관계만이 미래 자동차 산업에 대비할 수 있다.


협력이익공유제는 향후 대기업과 중소기업간의 거래관계를 개선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이 제도의 도입은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생산성격차 문제, 대기업 근로자와 중소기업 근로자간의 임금격차 문제, 중소기업의 혁신활동 미흡 문제 등 다양한 구조적 문제의 해소에 기여할 것이다. 나아가 우리 산업구조를 미래지향적으로 혁신하는데 공헌할 것이다.


이동주 중소기업연구원 상생협력연구본부장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