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임업경영인 가구수입 8358만원…전체 임가 평균의 2.2배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8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임업경영인 가구수입 8358만원…전체 임가 평균의 2.2배 산림청 제공
AD



[아시아경제(대전) 정일웅 기자] 지난 한 해 임업경영인의 가구수입이 전체 임가의 평균 가구수입보다 2.2배 많았던 것으로 집계됐다.

산림청은 이 같은 내용의 ‘2017년 임업경영실태조사’ 결과를 18일 발표했다. 실태조사에 따르면 2017년 독림가, 임업후계자, 신지식임업인 등 임업경영인의 한 해 가구수입은 평균 8358만원으로 전체 임가 평균 3870만원보다 4488만원 많았다.


특히 임업경영인의 경영구조를 살펴볼 때 가구수입, 임업수입, 임업경영비 등 세부항목 모두가 전체 임가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다.

임업경영인 가구수입 8358만원…전체 임가 평균의 2.2배 산림청 제공



또 임업경영인은 전체 임가 대비 유실수와 산나물 재배(채취)업의 경영비율은 낮고 조경수와 버섯 재배업의 경영비율은 높은 특징을 나타냈다.


이밖에 임업경영인의 목조건축업과 2차 가공제조업 총 매출액은 각 19억9036만원, 4억4799만원으로 조사됐으며 이중 목조건축업의 총 매출액은 2013년 11억4552만원 대비 지난해 73.8%의 증가율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신재희 정보통계담당관은 “임업경영인의 가구수입이 전체 임가의 평균 가구수입보다 상대적으로 많고 조경수와 버섯재배업 경영 규모가 큰 특징이 통계상으로 확인된다”며 “산림청은 앞으로도 정확한 통계조사를 통해 임업경영 활동과 소득증대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실태조사는 20개 임업 업종에 대한 경영구조와 경영의사 등을 파악해 임업정책 수립에 필요한 경영정보 등을 제공하기 위해 해마다 실시된다. 올해는 임업경영인과 목조건축업, 2차 가공제조업 등 3개 업종에 임가 총 3000곳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대전=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