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내車정보 수집 '현대차' 조사.. "2~3개월 걸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4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방통위 차량위치정보 무단수집 의혹 현대차 현장조사
조사결과 발표는 2~3개월 후에나 가능할 듯


내車정보 수집 '현대차' 조사.. "2~3개월 걸려"
AD

[아시아경제 황준호 기자] 정부가 현대자동차의 위치정보 무단 수집 의혹에 대한 조사에 나섰다. 현대차가 사용자의 위치 및 운행정보를 무단 수집하고 있다는 의혹과 관련한 조사다. 결과 발표까지는 수개월이 걸릴 전망이다.


방송통신위원회는 16일 기 제기된 의혹에 대한 현장조사 계획을 현대차에 통지했다고 17일 밝혔다. 방통위 측은 차량의 위치정보를 수집할 때 이용자 동의를 사전에 받았는지, 관련 약관은 합법적인지 등을 점검한다.

방통위는 국정감사 지적 후 6일 만이다. 조사는 다음주부터다. 방통위는 박선숙 의원(바른미래당)은 지난 11일 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현대·기아차가 현대기아차가 회사 명의로 개통된 단말기를 자동차에 부착해 '자동차 디지털운행정보'를 무단 수집한 것은 위치정보법 위반"이라고 지적하면서 조사에 나서게 됐다.


현대차는 블루링크와 제네시스 커넥티드로, 기아차는 UVO라는 차량용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통해 운전자의 개인 위치정보와 운행정보 등을 수집·보관해왔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현대차는 기아차, 통신사업자 등 3사가 공동으로 커넥티드카 사업 운영 중이며 고객에게 개인정보 수집이용동의를 받아 적법한 절차에 따라 운영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내車정보 수집 '현대차' 조사.. "2~3개월 걸려"



반면 박 의원은 "이용자가 동의한 수집 정보는 위치정보"라며 "위치정보 수집에 동의했다고 해서 금융정보까지 받아가면 안 되듯, 서비스 목적을 위한 최소정보만을 수집해야 한다"라며 맞서고 있다.


방통위 측은 "실태 점검만 해도 한 달 정도의 기간이 소요될 전망으로 방통위 확인감사 이후에나 결과가 나올 것"이라며 "법 위반 사항이 발견돼 사실 조사 등으로 전환될 경우 길게는 2~3개월도 걸릴 수가 있다"고 내다봤다.




황준호 기자 rephwa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