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양낙규의 Defence Club]北목함지뢰 무더기 남하 가능성… 전방 초비상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4초

[양낙규의 Defence Club]北목함지뢰 무더기 남하 가능성…  전방 초비상
AD



[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북한의 목함지뢰가 무더기로 떠내려올 가능성이 커지면서 군 당국에 비상이 걸렸다. 잇따른 집중호우로 북한의 전방부대가 철책 긴급 보수작업에 돌입한 가운데 서부전선의 비무장지대(DMZ) 유해발굴사업까지 영향을 미칠 것이란 전망이다.

4일 군 관계자는 "집중호우로 인해 경기도 파주와 연천지역의 북측 철책이 유실되면서 최근 북한 2군단 장병들이 철책 긴급보수작업에 돌입했다"며 이같이 전했다. 이 관계자는 "철책인근에 묻어놓은 목함지뢰가 대량 유실됐을 가능성이 높아 지역주민들의 안전 문제도 우려된다"고 덧붙였다.


집중호우에 따른 전방지역의 지뢰 발견 수는 최근 크게 늘어나는 추세다. 2015년에는 50여 발에 불과했지만 2016년 130여 발, 지난해에는 140여 발이 발견됐다. 올해 6월기준 전방지역에서 발견된 지뢰만 100여 발이 넘어서 최대 200여 발이상의 지뢰가 우리 측으로 흘러왔을 것으로 군당국은 관측하고 있다. 지난해 7월에도 집중호우로 인해 북한의 목함지뢰가 강화군 서도면 아차도까지 떠내려왔었다.

이들 지뢰는 대부분 남북이 DMZ 유해공동발굴 후보지로 거론한 곳이다. 군은 DMZ 유해공동발굴 후보지로 파주, 연천, 철원, 양구, 고성 등 5곳을 검토해왔다. 남북은 팩스 등을 주고받으며 DMZ 남북 유해공동발굴 후보지를 3~4곳으로 압축할 예정이다.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이 추천한 지역은 백마고지 전투로 알려진 철원을 비롯해 파주(벙커고지 전투), 연천(베티고지 전투), 양구(가칠봉 전투), 고성(월비산 전투) 등이다.


유해발굴에 앞서 남북은 지뢰제거 작업을 해야한다. 국제지뢰금지운동(ICBL) 등에 따르면 DMZ내 지뢰는 남북을 합쳐 200만 개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2010년 국방부는 이들 지뢰를 제거하는데 무려 489년이 걸릴 것으로 계산한 바 있다.


문제는 목함지뢰를 탐지하고 제거할 장비가 마땅치 않다는 점이다. 현재 개발 중인 지뢰제거용 장애물개척전차는 빨라야 2020년에야 전력화가 가능하다. 군이 보유한 지뢰탐지기도 1995년에 도입해 사용연한(8년)이 넘었고 금속지뢰만 탐지할 수 있다. 목함지뢰 등 비금속지뢰는 땅속 5~10cm만 묻혀 있어도 탐지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한편, 지난 2015년 서부전선 DMZ 목함지뢰 도발 사건 3주년 기념행사 'Remember 804'(8월4일을 기억하라)가 3일 경기도 파주시 육군 1사단 민통선 지역에서 열렸다. 서부전선 DMZ 목함지뢰 도발 사건은 지난 2015년 8월 4일 육군 1사단 수색대원들이 북한군이 군사분계선을 넘어와 수색 통문 인근에 매설한 목함지뢰를 밟으면서 벌어졌다. 이 사건 직후 북한 역시 전방지역에 준전시상태를 선포하며 DMZ 인근에서 긴장감이 커졌다. 결국 같은 달 경기도 연천군 DMZ에서 포격 도발이 발생해 남북관계가 경색됐다.


당시 수색팀원 가운데 두 다리를 다친 하재헌(24) 중사는 국군의무사령부 소속으로 장애인 조정 국가대표 상비군으로 활약 중이다. 하 중사와 함께 다리를 다친 김정원(27) 중사는 현재 상명대학교 컴퓨터과학과에 편입해 위탁 교육을 받고 있다. 수색팀장이었던 정교성 상사와 이형민 중사, 박선일 원사는 지금도 수색대대에 남아 임무를 수행 중이며 당시 소대장이었던 문시준 대위는 현재 사단 사령부에서 근무 중이다.







양낙규 기자 if@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이 기사와 함께 보면 좋은 뉴스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