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카카오, AI 기술 현대·기아차에 탑재…"차 온도 21도로 맞춰줘"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초

카카오-현대·기아차, 카카오 I를 현대·기아차 인포테인먼트 서비스에 탑재
커넥티드카 시장 선점 위해 IT기업-완성차 기업의 강결합 시도
차량 내에서 카톡 메시지 전송·보이스톡부터 차량내 장비 제어도 구현키로


카카오, AI 기술 현대·기아차에 탑재…"차 온도 21도로 맞춰줘"
AD


[아시아경제 한진주 기자] 카카오의 인공지능(AI) 서비스가 현대·기아차에 탑재된다. 차 안에서 음성으로 날씨나 음악 재생·검색부터 카카오톡 메시지 전송이 가능해지고 차량 내 장비까지 음성으로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카카오와 현대?기아자동차는 30일 카카오의 통합 인공지능(AI) 플랫폼 카카오 아이(i)를 현대?기아자동차 인포테인먼트 기술에 확대 적용하는 공동 개발 프로젝트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미래 커넥티드 카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완성차 업체와 IT기업이 협력한 사례다.

양사는 2019년 출시될 신차에 카카오의 AI 스피커 카카오미니에서 서비스 중인 다양한 기능을 우선적으로 적용하기로 했다. 카카오미니에서만 제공되는 카카오톡 메시지 전송·보이스톡도 제공할 예정이다. 카카오미니에서 제공하는 음악감상이나 날씨·주식·환율 등 생활정보, 라디오 뉴스, 팟캐스트, 스포츠, 동화읽어주기 기능도 음성 명령을 통해 차량에서 이용할 수 있다.


공조제어 등 차량 내 장비를 음성으로 제어하는 기능도 구현하기로 했다. 예를 들어 스티어링휠에 위치한 음성인식을 버튼을 누른 뒤 ‘음악(멜론) 틀어줘’, ‘카톡 읽어줘’, ‘뉴스 읽어줘’, ‘미세먼지 농도는?’, ‘차량 온도21도로 맞춰줘’ 같은 음성 명령으로 차량 내 장비를 제어할 수 있다.


현대?기아자동차와 카카오는 이번 공동 개발 프로젝트와 함께 기술과 플랫폼을 강하게 결합해 자동차 환경에서도 많은 이용자들이 통신 기반 인포테인먼트 서비스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다각도로 협력할 계획이다.


카카오와 현대?기아자동차는 작년 9월 제네시스 G70 차량에 양사가 공동 개발한 서버형 음성인식 기술을 적용하며 협력을 시작했다. 서버형 음성인식은 음성으로 목적지 검색과 맛집, 관광지, 정비소 등 유용한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해 주는 기술이다. 서버형 음성인식 기술은 현대·기아차 대부분 차량에 적용돼 있다.


김병학 카카오 AI 랩 총괄 부사장은 “자동차는 카카오가 AI 기술로 편리함을 만들어내고자 집중하는 공간”이라며 “양사가 긴밀히 협력해 자동차에서 일상의 혁신을 경험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추교웅 현대·기아차 인포테인먼트 개발실 이사는 “카카오와의 강력한 동맹으로 미래 자동차 핵심 경쟁력으로 손꼽히는 커넥티드 카 서비스에 대한 선제적 대응체계를 구축할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 소비자들의 기대를 뛰어넘는 혁신적인 서비스 개발을 위해 연구개발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진주 기자 truepear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