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현대차, 1만 가구 1년 사용할 수 있는 전기 만든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7초

현대차-울산시-한수원, 태양광 발전사업 공동개발 MOU 체결

현대차, 1만 가구 1년 사용할 수 있는 전기 만든다 현대차 울산공장 전경. 수출차 야적장으로 태양광 설비가 들어서는 장소 중 한 곳.
AD


[아시아경제 이정민 기자] 현대자동차가 울산시, 한국수력원자력과 공동으로 울산 수출차 야적장 등에 대규모 태양광 발전 사업을 추진한다.

현대차는 30일 울산 롯데호텔에서 울산시, 한국수력원자력, 현대커머셜과 태양광 발전사업 공동개발을 위한 다자간 업무협약(MOU)을 맺었다. 협약식에는 하언태 현대차 부사장, 김현철 산업통상자원부 신재생에너지정책단 국장, 송병기 울산시 경제부시장, 정재훈 한국수력원자력 사장, 김병희 현대커머셜 부사장 등이 참석했다.


현대차는 부지를 임대하고, 지분을 투자한다. 울산시는 인허가, 행정 지원에 나서며 한국수력원자력은 지분투자와 사업 추진 및 관리, 현대커머셜은 금융자문 등의 역할을 담당한다.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현대차 울산공장 내 수출차 야적장과 주행시험장 등 약 8만평 부지를 활용해 구축된다. 지붕 형태의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는 방식으로 부지 활용도를 극대화하고 환경 훼손을 막는다. 올해부터 2020년까지 2단계 공사를 거쳐 27MW급 태양광 발전 설비를 갖출 예정이다.


태양광 발전 시스템이 완공되면 연간 3500만kWh의 전기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 이는 1만 가구가 1년 간 사용할 수 있는 규모다. 같은 용량의 전기를 화석원료를 사용해 생산하려면 원유 8000t 정도가 든다.

현대차, 1만 가구 1년 사용할 수 있는 전기 만든다 현대차 울산공장 전경


이번 협약이 의미 있는 것은 국내 태양광 발전사업 최초로 민간기업과 공기업이 손을 잡았다는 점이다.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비중을 20%로 끌어올리겠다는 정부의 '재생에너지 3020 정책'에 부응한다. 아울러 30년생 소나무 약 250만 그루를 심는 것과 같은 연간 약 1만6500t의 이산화탄소 저감 효과가 있어 온실가스 감축에도 기여할 전망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향후에는 전기차 등 친환경차에서 나오는 재활용 배터리를 기반으로 한 에너지저장장치(ESS)를 태양광 발전 연계시스템으로 적용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현대차는 2013년 민간 기업과 함께 아산공장에 지붕발전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구축하고 연간 1150만kWh의 전력을 생산하고 있다.




이정민 기자 ljm101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