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주52시간 근무에 백화점 특수…강남 '명품' vs 강북 '남성 패션'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초

주52시간 근무에 백화점 특수…강남 '명품' vs 강북 '남성 패션'
AD



[아시아경제 지연진 기자] #명동에서 근무하는 직장인 A씨는 퇴근 후 여름 휴가 준비를 위해 신세계백화점 본점을 방문했다. 야근이나 회식으로 엄두도 낼 수 없었던 평일 저녁 쇼핑이지만,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 이후 개인적인 쇼핑은 평일 저녁을 이용하는 일이 잦아졌다. 셔츠, 반바지 등을 두루 둘러본 뒤 아이를 위한 옷도 구매한 시간은 오후 7시 30분. A씨는 “전에 비해 빨라진 퇴근시간으로 개인적인 쇼핑은 평일 저녁시간을 이용하고 주말엔 가족들과 함께 장을 보거나 선물을 사기 위해 방문한다.”며 “주말보다 상대적으로 한산하고 백화점이 사무실 근처에 있어 퇴근 이후 자주 오게 된다.”고 말했다.

주 52시간 근무제가 시행된 지 한 달 가량이 지나면서 고객들이 백화점을 찾는 시간대가 달라지고 있다. ‘저녁이 있는’ 직장인 고객들로 인해 평일 저녁 시간 쇼핑 고객도 덩달아 늘어난 것.


15일 신세계백화점에 따르면 주 52시간 근무제가 첫 시행된 지난달 한 달간 이 백화점의 평일 6시 이후 매출은 시행 직전인 6월 대비 8.6% 증가했다. 7월 신세계백화점 전체 신장률(6월 대비 2.8%)을 크게 웃도는 수치다.

주변에 사무실이 많아 직장인들이 방문하기 편리한 서울 3개 점포(본점·강남점·영등포점) 역시 지난 6월 대비, 지난달 6시 이후 매출이 5.8% 신장하는 등 근무시간 단축으로 인한 ‘저녁 있는 삶’이 고객들의 쇼핑 시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일 6시 이후 매출 비중도 늘어났다. 신세계백화점 서울 3개 점포의 평일 6시 이후 매출 비중은 전월보다 2.9%P 늘어난 25.1%를 기록했다.


특히 백화점의 주 고객층인 30대와 40대 고객의 매출은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 이전보다 12% 신장하며 저녁시간 매출 신장을 견인했다.


점포가 위치한 인근 상권에 따라 선호하는 장르도 다양하다. 강남 고객들은 명품과 여성복을, 명동을 중심으로 한 강북권 고객들은 남성패션, 생활·아동 장르를 선호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인근에 회사가 많은 명동을 비롯한 강북은 남성복과 아동 관련한 장르가, 강남에서는 퇴근 이후 백화점을 찾는 인근 여성 고객들로 인해 명품·잡화, 여성패션 소비가 두드러진 것으로 보여진다.


이에 신세계백화점 본점과 영등포점은 남성과 여성패션 행사를 열고 퇴근하는 직장인 고객들의 발걸음을 옮기게 한다는 계획이다. 신세계백화점 본점은 17일부터 19일까지 신관 5층에서 남성패션 여름 상품 클리어런스 행사를 통해 헤지스, 갤럭시라이프스타일, TI포맨 등이 여름 상품을 최대 50% 할인 판매한다.


이어 강남점에서는 17일부터 23일까지 진도모피, 동우모피, 사바띠에 등 유명 모피 브랜드가 최대 70% 할인되는 특가상품을 선보이는 ‘한여름 신세계 모피 페어’를 개최한다.




지연진 기자 gyj@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