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65년만의 귀향… 미군유해 송환식 엄수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4초

[아시아경제 배경환 기자] 북한에서 지난달 27일 이송해온 한국전쟁 미군 전사자 유해 55구를 미국으로 보내는 송환식이 1일 오후 오산 미군기지에서 개최됐다. 이들 유해는 1953년 7월 27일 정전 65년만에 고향으로 향하게 됐다.


주한 미 7공군사령부가 있는 오산기지 내 격납고에서 이날 오후 5시 치러진 유해 송환식은 송영무 국방부 장관, 빈센트 브룩스 한미연합사령관, 정경두 합참의장, 이상철 국가안보실 1차장, 해리 해리스 주한 미국대사 등 한미 관계자 5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브룩스 사령관은 추도사에서 "북한과의 인도주의적 협력에 힘입어 7월 27일 55구의 유해가 송환될 수 있었다"며 "우리는 유엔군사령부와 한국군의 후계자로서 이 자리에 모였다. 우리는 숭고한 희생의 수혜자로서 그들에게 마지막 경의를 표하고 화환을 바친다"고 말했다.


송환식 도중 오산 미군기지에서는 예포 21발이 발사됐다. '예포 21발'은 국가정상급 예우다. 유해 송환을 위한 한미 의장대 사열도 있었다. 금속관에 실린 미군 유해는 1구씩 밴에 실려 활주로에서 대기하는 미군 대형 수송기 C-17 글로브마스터로 이송됐고 관은 모두 하늘색 유엔기로 덮였다.

이번 미군 유해송환은 지난 6월 12일 싱가포르에서 열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북미정상회담 합의에 따른 것이다. 북미정상회담 공동성명 제4항에는 '북미는 신원이 이미 확인된 전쟁포로, 전쟁실종자들의 유해를 즉각 송환하는 것을 포함해 전쟁포로, 전쟁실종자들의 유해 수습을 약속한다'고 명시됐다.


북미 양측은 지난달 15일과 16일 판문점에서 미군 유해송환과 관련해 장성급 회담과 실무회담을 각각 개최해 한국전쟁 당시 북한 지역에서 전사한 미군 유해 55구를 정전협정 체결일인 7월 27일 항공편으로 송환키로 합의했고, 이는 이행됐다.


유엔사는 보도자료를 통해 "한국전쟁 때 전사하거나 실종된 채 돌아오지 못한 전우들을 미국민은 절대로 잊지 않았다. 유엔군사령부에 병력을 보낸 16개국 국민도 돌아오지 못한 용사들을 잊지 않고 있다"면서 "유엔사는 전쟁 중 사망하거나 실종된 용사의 가족이 그 애타는 기다림에 마침표를 찍을 수 있도록 전사자와 실종자 수색을 절대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미국 국방부 전쟁포로·실종자 확인국(DPAA)의 존 버드 박사는 지난달 27일 북한이 송환한 55구의 유해는 미군 전사자 유해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버드 박사는 1일 오산 미군기지에서 열린 미군 유해 송환식에 앞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미군 유해 감식과정을 설명해달라는 질문에 "초기 분석은 이미 마쳤다"며 "사람의 유해임을 확인했고, 미국인의 유해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말했다.


버드 박사는 '북한이 보낸 유해 중 인식표도 있었느냐'는 질문에는 "유해와 함께 인식표가 있었던 것은 사실"이라며 "미국인의 인식표였고, 그의 가족들에게 인식표가 발견된 사실이 이미 통보됐다"고 소개했다.




배경환 기자 khba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