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편의점 점포 순증 3분의1 토막…'최저임금 직격탄'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3초

신규 출점 감소 영향 …CU·GS25·세븐일레븐 편의점 일제히 추락
다점포 비중도 하향세…아르바이트생 줄이거나 시간 단축
신규 사업자인 이마트24만 순증 수 지속 상승


편의점 점포 순증 3분의1 토막…'최저임금 직격탄'
AD

[아시아경제 심나영 기자] 시간당 최저임금이 6470원에서 7530원으로 오른 지 6개월. 시간제 아르바이트 고용 탓에 인건비 부담이 큰 대표적인 업종 중 하나인 편의점은 올해 상반기 어느때보다 힘든 시기를 보냈다. 백화점, 대형마트 등을 포함해 유통업계 유일한 오프라인 성장업종이라는 공식도 깨질 형편이다. 출점에서 폐점을 뺀 순증수는 작년에 비해 3분의 1토막 났고, 편의점주 한 명이 여러 개의 점포를 가지고 있는 다점포 비율도 떨어졌다.

1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전국 1만개 이상 점포를 가진 주요 편의점들의 올해 상반기(1~6월) 순증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일제히 추락했다. 942개 점포였던 CU는 394개로, GS25는 1048개에서 343개, 세븐일레븐은 346개에서 245개로 하락했다.


순증수가 이처럼 떨어진 이유는 신규 출점 숫자가 줄어든 데 있다. 최저임금 인상 이후 기존 점포들은 아르바이트생을 줄이거나 아르바이트생 근무 시간을 단축해 긴축 경영에 들어갔다. 이 같은 어려운 영업여건에서 신규 점포를 내기가 쉽지 않아진 것이다.

다점포 비중도 하향 추세다. 세븐일레븐의 다점포 비율은 지난해 30.7%에서 올해 29.4%로 내려앉았다. 한 편의점 업계 관계자는 "올해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해 가맹점 부담이 늘어나면서 본사 자체적으로도 출점 기준을 강화하며 우량점 중심으로 개점을 추진하고 있다"며 "지금은 출점 수를 늘리는 것보다 기존 점포의 수익성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말했다.


편의점의 이런 경영 방침은 수치로도 나타난다. 산업통상자원부의 '5월 유통업체 매출동향'에 따르면 편의점 전체 매출은 9.1%, 구매단가는 7.3%, 점당 매출액은 0.1%올랐다.


일단은 임시방편으로 수익성 위주 경영방침을 발표했지만 오는 14일 결정되는 내년도 최저임금 인상률에 따라 편의점 업계는 올해보다 더 큰 타격을 받을 수 있다. 노동계는 올해 최저임금 보다 43.3%나 인상된 시급 1만790원을 내놓았고, 경영계는 시급 7530원으로 맞서고 있는 중이다.


다만 최저임금을 업종별로 차등 적용할 경우 수정안을 내놓을 수 있다고 여지를 남겨 둔 상태. 또 다른 편의점주는 "아르바이트에겐 최저임금을 주면서도 정작 점주들은 최저임금에도 못 미치는 수준을 벌고 있다"며 "내년에도 최저임금이 대폭 인상되면 올해처럼 출점 수가 줄어드는 것은 물론 폐점 수까지 늘어나게 될 것"이라고 토로했다.


다만 신규 편의점 사업자인 이마트24는 올해 상반기 순증수만 584개를 기록했다. 6월 말 기준 전체 점포수는 3236개로, 이 속도라면 올해 목표로 삼은 4000개 돌파 목표 달성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이마트24 점포개발 관계자는 "24시간 운영을 경영주가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강원도 지역에서 출점이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추세"라고 밝혔다.


24시간 운영하는 점포들도 확연히 줄었다. 이마트24의 경우 지난해 신규점의 19%가 24시간 운영을 선택했지만, 올해 상반기에는 최저임금 인상으로 야간 운영에 부담을 느끼는 경영주가 늘어나면서 9.7%로 감소했다.




심나영 기자 sn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