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가짜 '짱구 파자마' 꼼짝마…'짝퉁' 강경대응 나선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5초

이랜드, '짱구 파자마' 불법 복제품 나돌자 국내 판권 보유 대원미디어와 강경 대응하기로
로서울, '주티백' 가짜상품에 법적 조치 검토
인기 많으면 불법 가품 유통되기 일쑤 … 제조사 존립에 위협 되기도

가짜 '짱구 파자마' 꼼짝마…'짝퉁' 강경대응 나선다 이랜드그룹의 SPA 브랜드 '스파오'가 대원미디어와 라이선스를 맺고 출시한 '짱구 파자마'
AD



[아시아경제 박미주 기자]국내 패션업계가 짝퉁 제품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불법 복제물이 국내에서 버젓이 유통되고 있어 업계가 공동 대응에 나서고 있는 모습이다.

1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국내에서 '짱구는 못말려' 관련 판매권을 지닌 대원미디어와 라이선스 계약을 맺고 '짱구 파자마'를 출시한 이랜드가 파트너십을 맺고 불법 복제품에 강경 대응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짱구 파자마는 이랜드그룹의 제조ㆍ유통 일괄형(SPA) 브랜드 '스파오'가 지난해 8월 출시한 상품으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에서 인기를 끈 제품이다. 출시 날 30분 만에 품절되기도 했다. 지난해 겨울시즌에 나온 짱구 파자마는 15만장 이상 팔렸고 재주문은 4차까지 진행됐다. 올여름 짱구 파자마 신제품도 3만장 팔렸으며 12만장이 추가 판매될 예정이다. 한 방송사 인터뷰에서 스승과 제자들이 단체로 입고 나오기도 했으며 최근에는 MBC의 예능프로그램 '나혼자산다'에서 그룹 마마무의 멤버 솔라가 짱구 파자마를 입은 모습이 방송되기도 했다.

그런데 짱구 파자마가 인기를 끌자 인터넷상에서 저작권 계약을 맺지 않은 불법 복제품들이 판매되기 시작했다. 짱구 파자마 정가는 2만9900원인데 인터넷에는 이보다 절반 이하의 가격인 1만2900원에도 판매되는 실정이다. 제조사는 정식 계약을 맺은 이랜드가 아닌 다른 업체.

가짜 '짱구 파자마' 꼼짝마…'짝퉁' 강경대응 나선다 인터넷에서 판매되는 '짱구 파자마'. 스파오에서 정식으로 출시한 제품과 타 업체에서 내놓은 제품이 함께 판매되고 있다.



이처럼 피해가 커질 것으로 우려되자 이랜드와 국내 판권을 지닌 대원미디어가 공식 대응에 나서게 된 것이다. 이랜드 관계자는 "우리도 대금을 지불하고 라이선스 계약을 맺은 다음 공식적으로 상품을 내놓은 것인데 불법 복제물로 피해를 보고 있어 공동으로 강경 대응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디자이너 가방 브랜드 '로서울' 또한 브랜드 카피 상품의 온라인 유통에 맞서 법적 조치를 검토하는 등 강경 대응하기로 했다. 로서울은 가구 브랜드 '바이헤이데이'로 알려진 스튜디오헤이데이에서 2014년 출시한 디자이너 브랜드다. 로서울에서 올 봄·여름 시즌 내놓은 '주티백'의 경우 수지가 공항에서 착용하며 일명 '수지 가방'으로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그러나 상품 외관과 사이즈, 스트랩, 내부 포켓까지 디자인을 도용한 복제품이 유통되며 브랜드 가치를 훼손하자 이 같은 대응에 나선 것.

가짜 '짱구 파자마' 꼼짝마…'짝퉁' 강경대응 나선다 왼쪽부터 로서울의 '주티백'과 주티백 복제 상품



로서울 관계자는 "전체적인 디자인은 거의 똑같지만 소재와 완성도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차이가 난다"며 "질 낮은 소재를 쓰는 만큼 가격도 훨씬 낮게 판매돼 골머리를 앓고 있다"고 토로했다. 그러면서 "우선 카피 상품을 판매 중인 온라인 쇼핑몰들을 상대로 판매 중단 요청을 취했다"며 "카피 상품 제조업체에게 경고장을 준비 중"이라고 했다.


국내에서는 이밖에 많은 불법 모조품들이 판매ㆍ유통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모든 제품이 그런 것은 아니지만 인기가 많아지면 불법 복제품이 생기고 많을 때는 시중 유통 제품의 절반 이상이 불법 가품"이라며 "이 때문에 정식 라이선스 계약을 맺고 장난감 등 제품을 만드는 회사들이 존립 위기에 서게 되는 경우들도 상당하다"고 지적했다.


시장 정화를 위해 소비자와 정부도 역할을 할 필요가 있다는 게 전문가 견해다. 이은희 인하대학교 소비자학과 교수는 "소비자들이 더 저렴한 가격의 불법 복제품을 사면 기업들의 연구ㆍ개발 의욕이 꺾이게 되고 궁극적으로 소비자들 욕구에 부응하는 신제품도 만들어지지 않는다"며 "소비자의 권리를 얘기하는데 소비자도 정직해야 하는 의무나 책무를 다해야 한다"고 짚었다. 이어 "정부 또한 기업의 지식재산권 보호를 위해 불법 복제품 단속을 철저히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박미주 기자 beyond@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