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싱가포르 간 현송월, 제2의 핑퐁외교 되나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초

싱가포르 간 현송월, 제2의 핑퐁외교 되나 현송월 삼지연관현악단 단장이 31일 오후 평양순안국제공항에 도착한 남북평화 협력기원 남측예술단 예술감독을 맡은 가수 윤상과 환담하고 있다./평양공연사진공동취재단
AD


[아시아경제 백종민 외교안보담당 선임기자] 현송월 북한 삼지연관현악단장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싱가포르행에 동행하면서 북ㆍ미 간 스포츠ㆍ문화 외교가 추진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고 있다. '제2의 핑퐁 외교'가 실현될지 주목된다.

미국 인터넷 매체 악시오스는 10일(현지시간) 미국 정부가 북ㆍ미 간 국교 정상화의 초기 단계로 스포츠ㆍ문화 외교를 추진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다. 악시오스는 미국 정부가 북ㆍ미 회담 준비를 하며 북한의 체조선수단과 관현악단을 미국에 초청하는 문제를 포함, 문화 교류 방안을 강구해왔다고 전했다.


이 같은 보도는 10일 싱가포르에 도착한 김 위원장 일행에서 포착된 현 단장의 등장과 일치한다. 현 단장은 평창동계올림픽 기간 방남한 북한 예술단을 이끈 경험이 있다. 현 단장이 평창올림픽 북한 예술단 파견을 위한 실무접촉 전체회의에도 참석한 경험이 있는 만큼 이번 정상회담 기간 중 북측과 미측의 문화 교류를 위한 협상이 진행될 가능성이 있다. 사전 점검단을 포함하면 두 차례 한국을 방문한 그는 익히 알려졌듯이 김 위원장에 대한 충성심이 대단한 인물이다. 그런 그가 미국과의 문화 교류 협상에 나서는 것은 당연한 수순일 수 있다.

미국은 과거 중국과 수교하며 '핑퐁 외교'로 물꼬를 튼 바 있다. 1971년 4월10일 미국 탁구선수단의 전격적인 중국 방문 후 이듬해 리처드 닉슨 당시 미 대통령이 전격 방중, 미ㆍ중 관계 정상화라는 대어를 낚은 기억이 여전히 생생하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햄버거 체인 맥도널드의 북한 진출도 문화적인 차원에서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회담 준비에 정통한 한 소식통은 악시오스에 "트럼프 대통령은 궁극적으로 맥도널드와 같은 상징적인 미국 기업이 북한에 진출하는 방안을 원한다"고 전했다. 맥도널드가 평양에 입성한다면 미국 문화 전달의 장으로 활용될 수 있다. 악시오스는 이에 대해 북한이 비핵화를 거부할 경우에 대해 겁을 주면서 미국의 요구를 받아들이면 북한이 잘 살게 될 것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하려는 게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정상회담 협상 전략이라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정상회담이 성과를 내기 위해 어떤 것이든 협상 테이블에 올려놓을 수 있다는 시각을 가지고 있다. 핑퐁 외교 전략을 통해 유화적인 관계를 유지하면서 국교 관계 수립을 위한 지속적인 협상을 추진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악시오스는 트럼프 대통령이 다른 나라 정상과 달리 자신과 성격이 비슷한 김 위원장과 만나면 협상이 잘 진행될지 바로 알 수 있을 것으로 여기고 있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북ㆍ미 정상화담을 위해 싱가포르에 도착하기에 앞서 북한의 비핵화 진정성을 가늠하는 데 1분이면 충분하다고 주장했다.






백종민 외교안보담당 선임기자 cinqang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이 기사와 함께 보면 좋은 뉴스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