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印, 북·미 회담 해결사(?) 등판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3초

印, 북·미 회담 해결사(?) 등판 [이미지출처=로이터연합뉴스]
AD


[아시아경제 백종민 외교안보담당 선임기자] 북한 비핵화 협상에 인도 변수가 발생했다. 미국이 북ㆍ미정상회담의 정상적인 개최를 위해 인도를 끌어들였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인도 정부는 17일(현지시간) 비자이 쿠마르 싱 외교부 국무장관이 북한의 초청으로 15∼16일 북한을 방문했다고 발표했다. 싱 국무장관은 방문 기간 김영대 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부위원장, 리용호 외무상, 박춘남 문화상, 최희철 외무성 부상 등을 만났다. 인도의 외교 국무장관은 우리의 차관급이다.


싱 국무장관은 남북한 지도부의 공동 평화 노력을 지지하면서도 북한과 인도 이웃 국가와의 핵확산 연계 측면에서 인도의 우려를 전달했다고 인도 외교부가 설명했다.

인도의 국무장관급 고위 인사가 방북한 것은 1998년 이후 20년만이다. 북한의 비핵화를 위한 남ㆍ북ㆍ미ㆍ중 외교전이 치열하게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인도가 등장한 것은 적잖은 의미가 있다는 평이다.


인도는 사실상의 핵보유국이다. 과거 파키스탄과 핵 개발 경쟁을 하다 미국ㆍ중국의 중재를 통해 한발 물러선 경험이 있다. 당시 미국은 인도를, 파키스탄은 중국이 맡아 중재했다. 특히 인도는 최근 중국 견제를 위해 미국과 부쩍 가까운 사이다. 미국이 북한과 우호관계가 있는 인도를 통한 비핵화 외교에 나섰을 수도 있다.


인도는 1973년 남북한과 동시 외교관계 수립에 합의해 지금까지 45년간 대사급 외교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인도는 지난해에 렉스 틸러슨 당시 미국 국무장관이 방문해 북한과의 외교관계 단절을 요구했을 때도 대사급 외교관계를 유지하겠다고 공언했다.


영국 BBC는 인도가 뒤늦게 나마 북한 비핵화를 위한 국제 외교전에서 뒤쳐지지 않겠다는 의지를 보인 것인지, 미국측의 입장을 대변하고 있는 것인지 모호하다고 평했다. 그러면서도 인도가 미국을 지원해 북ㆍ미 정상회담을 무사히 진행하기 위한 구원투수로 투입됐을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최근 미국 쪽에 다가가 있지만 인도는 전통적으로 중립외교의 중심이면서 북한과 지속적인 관계를 맺어온 배경이 있기 때문이다.


인도 국방분석연구소(IDSA) 동아시아문제 전문가인 프라샨트 쿠마르 싱 수석연구원은 "인도는 오랜 기간 북한이 외부를 바라 보는 창이었다. 미국의 입장에서는 북ㆍ미정상회담을 예정대로 개최하기 위해 인도에게 도움을 요청했을 수 있다"고 판단했다.




백종민 외교안보담당 선임기자 cinqang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