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조선서 최초로 발급된 '개국공신교서' 국보로 승격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0초

조선서 최초로 발급된 '개국공신교서' 국보로 승격 이제 개국공신교서 (사진=문화재청 제공)
AD



[아시아경제 김지희 수습기자] 태조 이성계가 조선의 개국 공신 이제(李濟)에게 내린 교서가 국보로 승격된다. 문화재청은 보물 제1294호 ‘이제 개국공신교서’를 국보로, ‘익산 미륵사지 서탑 출토 사리장엄구’ 등 네 건은 보물로 지정 예고한다고 25일 발표했다. 예고 기간 한 달 동안 각계 의견을 수렴한 뒤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할 방침이다.

이제 개국공신교서는 조선 최초로 발급된 공신교서이자 현재까지 실물이 공개돼 전해지는 유일한 공신교서다. 교서는 국왕이 직접 당사자에 내린 문서다. 공신 관련 사무를 관장하던 공신도감이 국왕의 명에 따라 발급한 녹권(錄券)에 비해 위상이 높다. 조선의 개국공신녹권으로는 ‘이화 개국공신녹권’이 국보 제232호로 지정돼 있다.


교서에는 이제가 공을 세운 과정과 포상 내역 등이 담겨 있다. 1370년 명나라에서 내린 ‘고려국왕지인(高麗國王之印)’이라는 어보도 찍혀 있다. 조선 개국 시점까지 고려 인장이 사용된 사실을 알려준다. 교서는 조선시대 제도사 연구는 물론 고려 말에서 조선 초기 서예사의 흐름을 반영해 학술적 가치가 높다는 게 문화재청의 설명이다.

조선서 최초로 발급된 '개국공신교서' 국보로 승격 익산 미륵사지 석탑 사리호 (사진=문화재청 제공)



익산 미륵사지 서탑 출토 사리장엄구 등 네 건은 보물로 지정 예고됐다. 사리장엄구는 사리를 불탑에 안치할 때 사용하는 용기나 함께 봉안되는 공양물을 의미한다. 639년 백제 무왕 시기 절대연대를 기록한 금제사리봉영기, 구슬이나 공양품 등이 담긴 청동합 등으로 구성됐다. 이 유물은 백제 왕실에서 발원해 제작된 것으로 봉안 당시 모습 그대로 발굴돼 고대 동아시아 사리장엄 연구에 큰 의미를 갖는다.


금제사리봉영기는 앞면과 뒷면에 각 열한 줄, 총 193자가 새겨진 얇은 금판이다. 백제 왕후가 재물을 시주해 사찰을 짓고 사리를 봉안해 왕실의 안녕을 기원한다는 내용이 적혀있다. 삼국유사를 통해 전해지던 미륵사 창건설화를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계기가 됐다. 청동합은 구리와 주석 합금 여섯 점으로 구성돼 있다. 명문에 의해 시주자의 신분이 당시 상류층이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조선서 최초로 발급된 '개국공신교서' 국보로 승격 지장시왕도(사진=문화재청 제공)



이밖에 보물 지정 예고된 유물은 ‘이숙기 좌리공신교서’, ‘분청사기 상감 경태5년명 이선제 묘지’, ‘지장시왕도’다. 성종의 즉위를 보좌한 공로를 인정받아 왕실로부터 발급받은 증서인 이숙기 좌리공신교서는 당시 정치적 동향을 확인할 수 있는 원천 자료다. 발급 당시 원형을 유지하고 있어 15세기 후반 공신교서의 형태, 서체, 제작방식 등 연구에 의미가 있다.


지난해 9월 국내로 환수된 이선제 묘지도 보물 지정이 추진된다. 묘지는 1998년 일본으로 밀반출됐다 한 일본인 소장가의 기증으로 지난해 국내로 돌아왔다. 일반 묘지와 달리 넓은 사각의 태토판(질흙으로 만든 판) 두 개와 좁은 태토판 두 개를 좌우로 붙인 형태로 제작된 점이 특징이다. 조선 초기 묘지석 제작의 과도기적 경향을 알려주는 유물이다. 환수 이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관리해왔다.


지장시왕도는 지장보살과 망자를 심판하는 시왕이 한 화면에 담긴 불화다. 현재까지 국내에서 유일하게 알려진 16세기 지장시왕도이자 조선 중기 불교회화를 대표하는 작품이다.




김지희 수습기자 ways@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