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이해진은 왜 총수가 싫을까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1초

[서비스뉴스 군만두] 네이버 창업자이자 개인 최대주주인 이해진 GIO
5월 공정위 총수 재지정 앞두고
주식 매도·등기이사 사임으로 총수 꼬리표 떼기


이해진은 왜 총수가 싫을까 이해진 네이버 창업자가 지난해 10월31일 국회에서 열린 국회 정무위원회의 공정위 등에 대한 종합 국정감사에 출석, 의원들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윤동주 기자 doso7@
AD


[아시아경제 한진주 기자] 내년이면 네이버(NAVER)가 설립된 지 20년이 됩니다. 1999년 '네이버컴'이라는 벤처회사로 시작해 국내 최고의 인터넷 기업이 됐습니다. 우리 삶에 너무 깊이 들어와 있는 네이버, 이해진 창업자를 빼고 이야기할 수 없는 기업입니다. 그는 현재 글로벌투자책임자(GIO)라는 직함을 가지고 있습니다. GIO 말고 또 하나 있는데 바로 '총수'입니다. 지난해 9월 공정거래위원회가 붙여준 직함으로, 이 창업자가 아주 싫어하는 이름입니다.


한편 이 창업자는 바로 어제(27일) 네이버 주식을 대량으로 팔았습니다. 4.31%였던 지분율이 3.72%로 떨어졌습니다. 금액으론 1500억원이 넘습니다. 그런데 지난해 8월에도 주식을 많이 팔았다는 건 흥미롭습니다. 당시는 공정위가 이 창업자를 총수로 볼 것인지 결정하기 직전이었고, 이번에도 같은 상황이기 때문입니다.

공정위는 오는 5월 총수 재지정 여부를 판단합니다. 이 창업자가 이를 앞두고 '총수 꼬리표를 떼달라'고 신호를 보낸 것으로 해석하지 않을 도리가 없습니다. 공정위는 기업에 대한 '지배력과 영향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합니다. 얼마 전 이 창업자가 네이버 등기이사에서 물러나기로 한 결정과 몇 년 전부터 공식 직책을 내려놓은 일련의 조치들도 다 이런 테두리 안에서 해석됩니다.


그렇다면 이 창업자는 왜 이렇게 총수라는 이름을 싫어하는 걸까요. 그의 증언을 직접 들어보시죠. "제 역할은 해외 사업인데 모든 걸 책임지는 총수는 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지금은 외국에서 잘할 수 있는 일만 열심히 하고 거기에 책임을 지는 것이 사회에 기여하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지난해 국정감사장에서 한 말입니다.


네이버가 이른바 '재벌'로 분류되고 이 창업자가 총수로 규정되면 어떤 일이 생기는 걸까요. 일단 회사는 일감 몰아주기 금지 등 시장과 정부로부터 집중 감시를 받게 됩니다. 그리고 총수는 회사의 각종 위법 행위에 대해 법적 책임을 집니다. 재벌과 총수라는 단어에 '구태'를 상징하는 부정적 의미가 들어있어 도전적인 벤처인으로서 '기분이 나쁘다'는 이유도 있는 것 같습니다.


네이버가 투명한 지배구조 확립에 힘써왔고 친인척을 경영에 참여시키지 않은 점 등에서 다른 재벌과는 결이 다른다는 것, 인정합니다. 토종 IT기업을 대표해 글로벌 사업에 적극 나서고 있는 이 창업자의 열정도, 높이 평가받아야 합니다. 그렇지만 그런 저런 이유를 대며 "네이버만은 다르게 대우해 달라"고 할 수도 없는 노릇입니다.


자신의 능력을 십분 발휘해 네이버의 미래 먹거리를 찾는 역할과, 법적 책임을 지는 문제는 전혀 별개입니다. 그의 말대로 "회사에 미치는 지배력이 미미하다(혹은 이제는 미미해졌다)"는 게 사실이라면, 네이버가 지배력도 약한 총수의 직함 문제에 회사 차원에서 목소리를 높이는 것은 또 어떻게 봐야 할까요. 네이버가 새로운 대한민국 기업사(史)를 써내려가는 모습이 계속되길 바랍니다. 지금처럼 투명성을 앞세워 '네이버만의 길'을 가면 됩니다.

이해진은 왜 총수가 싫을까




한진주 기자 truepear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