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美 수출길 원천봉쇄되나…'최악' 대응나선 철강업계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0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최소 53% 관세부과 놓고 탈미국행·신시장 다변화 등 고심


[아시아경제 권재희 기자, 기하영 기자]미국 상무부가 무역확장법 제232조에 따른 '철강수입 안보영향 조사' 결과를 발표하자 철강업계는 '패닉'에 빠졌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결정이 '최악'과 '차악' 중 어느 곳을 향할지 촉각을 곤두세우며 최악의 경우를 가정하고 대응책 마련에 분주한 모습이다.

19일 철강업계에 따르면 포스코와 현대제철 등 주요 철강사들이 미국의 고강도 철강수입 규제 권고안이 발표되자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A철강사 관계자는 "지난 17일 산업통상자원부 장ㆍ차관 및 업계 CEO들이 모여 회의를 했다"면서 "이날 회의에서 구체적인 방안은 나오지 않았지만 민관이 공동으로 대응방안을 모색 중"이라고 말했다.


업계가 가장 우려하는 시나리오는 2안이다. 미 상무부의 권고안은 ▲모든 국가를 대상으로 최소 24%의 관세부과(1안) ▲한국을 비롯 브라질, 러시아, 터키, 인도, 베트남, 중국, 태국, 남아프리카공화국, 이집트, 말레이시아, 코스타리카 12개국을 대상으로 최소 53%의 관세 부과(2안) ▲모든 국가를 대상으로 지난해 대미 수출 63% 수준의 쿼터 설정(3안) 으로 구성돼있다. 최종 결정권자인 트럼프 대통령이 2안을 선택할 경우 포스코와 현대제철, 넥스틸 등 기존에 40~60%의 반덤핑관세를 맞은 업체들 뿐만 아니라 유정용 강관에 대해 6%대의 상대적으로 적은 관세율을 부과 받은 세아제강 역시 향후 60%가량 반덤핑관세를 맞을 수 있어서다. 특히 유정용강관을 주력으로 생산하는 넥스틸의 경우,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대미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80%에 달하고, 세아제강 역시 매출의 25%를 미국에 의존하고 있어, 추가적으로 반덤핑 관세를 맞게 되면 큰 타격을 받을 수 밖에 없다.

업계 관계자는 "2안이 최악이고 1, 3안의 경우가 차악이라고 볼 수 있는데 2안의 경우 사실상 우리나라 철강업체 모두가 미국 수출길이 막히는 셈"이라며 "'한국'이라 콕 찝어 겨냥한 것은 의도가 있는 것 아니겠냐"고 토로했다.


앞서 포스코와 현대제철의 경우 지난 2016년 냉연과 열연강판에 대해 최고 60%가량의 반덤핑 관세를 받은 바 있다. 여기에 2안이 채택될 경우 최고 110%의 관세율을 적용받게 된다. 포스코 관계자는 "이미 지난 2016년 60% 이상의 관세를 맞은 후로 기존 계약물량 외에는 신규 계약을 맺지 않았다"면서 "US스틸과 합작 법인인 UPI에서도 한국산 철강을 사용하고 있지 않고 있고, 미국 내에 공장 증설 계획도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사실상 포스코와 현대제철의 경우 지난 2016년 고강도 관세를 맞으며 대미 의존도를 낮춘데다 이미 수출판로 다변화를 꾀하고 있는 셈이다. 현대제철 관계자 역시 "신시장 개척 등 수출지역 다변화를 모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세아제강도 최악의 시나리오를 가정하고 탈미국행을 고심 중이다. 세아제강 관계자는 "현재로서 가장 현실적인 시나리오는 미국 현지 생산법인인 SSUSA를 통해 최대한 피해를 줄이는 방안을 모색 중"이라며 "당장 미국 수출분을 상쇄하기란 힘들겠지만 현재 세아제강이 진출해 있는 유럽과 동남아, 남미를 비롯한 전 세계 10개국에서의 시장 점유율을 늘려가는 것이 장기적인 대안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 남미시장을 중점적으로 공략 중"이라며 "이 외에도 신시장 개척 역시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




권재희 기자 jayful@asiae.co.kr
기하영 기자 hykii@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권재희 기자 jayful@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