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한국이 물 준 5G, 열매는 중국이 딸 판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9초

이통3사, 5G 통신장비 개발 협력사 선정위한 제안요구서 발송
중국산 통신장비 대거 도입예고.. 글로벌 시장 선점의미 퇴색 우려

한국이 물 준 5G, 열매는 중국이 딸 판
AD



[아시아경제 황준호 기자] 국내 이동통신사들이 내년부터 구축할 5세대 이동통신망에 중국산 통신장비를 대거 도입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5G 조기 상용화의 과실을 중국업체가 독식하게 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중국 정부의 막대한 지원을 받은 중국산 장비가 국내 5G 시장을 점령할 경우 국민 데이터 보안에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함께 제기된다.

국내 이통 3사는 최근 5G 상용시스템 개발 협력사 선정을 위한 5G 제안요구서(RFP)를 글로벌 통신장비 업체에 보내고 협력사 선정 작업에 들어갔다. 삼성전자, 에릭슨, 노키아, 시스코, 화웨이, ZTE가 RFP를 받았다. 삼성전자와 유력 통신장비업체인 에릭슨·노키아.시스코 외에는 모두 중국업체다.


이통사들은 2026년까지 국내시장만 14조원을 투자하는 사업에 중국업체의 참여를 독려하고 있다. 화웨이와 LTE망 구축에 나섰던 LG유플러스는 물론이고, LTE망 구축시 중국업체를 배제한 SK텔레콤과 KT도 중국산 장비 도입에 나섰다.

한국이 물 준 5G, 열매는 중국이 딸 판 네트워크전략본부장 서창석 전무가 글로벌 제조사들을 상대로 KT 5G 상용시스템 제안요구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중 화웨이의 국내 5G 망 진출이 유력하다. 세계 LTE 네트워크 점유율 30%를 차지하고 있는 화웨이는 지난 10년간 3130억 위원(약 54조원)을 연구개발(R&D)에 투자했으며 전세계 15곳에서 글로벌 R&D 센터를 운영하는 등 5G 장비 개발을 역점사업으로 두고 있다.


화웨이는 올해 5G 통신장비를 상용화 할 것이라는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다. 계획대로 라면 국내 업체 대비 약 6개월 정도 빨리 5G망 구축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화웨이만이 정부의 목표인 내년 3월 5G망 상용화 일정에 맞춰 장비를 공급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뜻한다.


화웨이의 장비가 가성비가 높다는 점도 강점이다. 업계에서는 화웨이의 장비 가격이 국산의 절반 수준이라고 분석한다. 특히 화웨이는 과거 LG유플러스가 LTE 망을 구축할 당시에도 장비를 배가 아닌 비행기로 배송해 LTE망 구축 시기를 앞당겨 주는 등 국내 시장 진출에 적극적이다.


화웨이의 국내 진출을 바라보는 국내 장비업체들의 눈은 불안하기만 하다. 정부가 5G망 선제 구축에 나선 것은 글로벌 시장 선점 및 일자리 창출을 위한 조치다. 하지만 중국산 장비가 들어오면서 5G망 선제 구축의 의미가 퇴색한다는 우려가 나온다. 가성비에서 앞서는 중국업체에게 '세계 최초 5G망 구축'이라는 타이틀까지 뺐기면 국산 장비의 해외 진출로는 막혀버린다는 지적이다.


업체 관계자는 "통신장비도 준비가 안됐지만 5G 단말기 당장 내년 초에 나올 수 있다는 보장이 없다"며 "정부의 상용화 일정이 너무 빨라, 외국업체들만 실익을 거두게 해주는 것은 아닌지 의문"이라고 밝혔다.


중국산 장비 사용에 따른 보안 우려도 제기된다. 전문가들은 우리나라 통신 장비의 70% 이상이 외산이며 외국업체가 백도어를 통해 우리나라 국민의 정보를 유출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한다. 지난 13일 미국 중앙정보국(CIA)과 등 6개의 미국 정보기관 수장들은 상원 정보위 청문회에서 해킹 가능성 등을 이유로 화웨이와 ZTE의 제품을 사용하지 말라고 경고했다. 중국 통신장비업체들이 통신장비를 통해 스파이 행위를 할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이다. 미국은 화웨이의 미국 기업 인수, 미 이통사에 통신장비 납품, 스마트폰 판매 등을 일일이 막아왔다.


한국이 물 준 5G, 열매는 중국이 딸 판



정부도 이같은 우려에 대해 공감하고 있다. 하지만 통신장비 계약은 사기업간의 계약이라는 점에서 막아서지 못하고 있다. 깊게 보면 국가 간 통상 문제로 빚어질 가능성도 있다.


유영민 과기정통부 장관은 지난달 "5G 레퍼런스를 만들어 우리 기업들이 빨리 해외로 나가도록 하자는게 정부의 그림"이라고 밝혔다. 이어 "5G 관련, 국산 장비를 강조하는 이유에는 보안 문제도 있다"며 "한국 중소기업 통신장비보다 보안성이 취약한 외국산(産) 통신장비가 도입된 과거 사례가 있다면 사안을 깊게 다루겠다"라고 밝혔다.




황준호 기자 rephwa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