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공항 영접'의 외교학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2초

문 대통령, 차관보급이 영접…국빈방문 격 논란
'남중국해 분쟁' 필리핀 대통령 영접은 장관급

'공항 영접'의 외교학 중국을 국빈 방문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가 13일 오전 중국 베이징 서우두 국제공항에 도착, 의장대를 사열하고 있다. 중국에선 차관보급인 쿵쉬안유 중국 외교부 부장조리가 영접을 나왔다.[사진=청와대]
AD


[아시아경제 이민찬 기자] 각국 정상의 해외순방 일정은 상대국의 공항 영접으로 시작된다. 공항에 영접 나온 인사의 직급과 중량감, 형식 등을 보면 상대국이 제공하는 예우의 수준을 어느 정도 가늠해볼 수 있다. 13일 오전 중국 베이징에 도착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를 맞은 건 쿵쉬안유 중국 외교부 부장조리였다. 우리로 치면 차관보급으로, 국빈 방문의 격(格)이 너무 낮은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중국은 그 동안 외국 정상의 국빈 방문시 부부장(차관) 이상이 공항영접을 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이 2013년 취임후 처음 중국을 국빈 방문했을 때에는 장예쑤이 상무부부장(수석차관)이 영접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이 2008년 5월 취임 후 첫 방중했을 때에는 차관보인 허야페이 외교부 부장조리가 공항에 나왔었다. 공항영접만 보면 중국 인사의 격이 10년 전으로 후퇴한 것이다.


이를 두고 논란이 일자 청와대는 쿵 부장조리는 올 상반기 은퇴한 우다웨이의 뒤를 이어 차관급에 해당하는 한반도사무특별대표를 겸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반도사무특별대표는 한반도 정세와 6자회담, 북핵 협상 업무를 맡고 있는 요직이다. 중국 외교부 내에서 직급이 차관보이지만 실질적인 역할과 위상은 차관급이기 때문에 문제될게 없다는 게 청와대의 설명이다.


쿵 부장조리는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THAAD) 배치 문제로 얼어붙었던 한중 관계의 물꼬를 튼 '10·31일 한중 관계 개선 관련 양국 간 협의 결과'를 이끌어낸 주역이다. 청와대는 이 점에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그러나 일각에선 중국이 '10·31' 합의 이후에도 이른바 '3불(不)' 정책 실천 등을 압박하고 있는 점을 지적하며 쿵 부장조리의 영접이 '무언의 압박'이라고 해석한다.


중국은 그 동안 방문의 형식이나 국가의 규모 등과 상관없이 이해관계에 따라 영접 나갈 인사의 급을 정했다. 지난해 10월 중국을 방문한 두테르테 필리핀 대통령의 공항 영접에는 장관급인 왕이 외교부장을 보냈다. 중국은 천연자원과 수산물이 풍부하고 안보·물류의 요충지인 남중국해를 두고 아세안 국가들 뿐 아니라 미국·일본과 마찰을 빚고 있다. 사드 보복 조치를 풀어달라고 요구하는 우리와는 상황이 달랐던 것이다.




이민찬 기자 leemi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