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전북 장수서 가야 수장층 '마구류' 출토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0초

전북 장수서 가야 수장층 '마구류' 출토 출토된 마구류 및 철제 무기류 [사진=문화재청 제공]
AD


[아시아경제 김세영 기자] 장수 동촌리 고분군에서 가야 수장층의 무덤임을 알려주는 마구류와 토기류 등 다양한 유물이 출토됐다.

장수 동촌리 고분군은 가야계 고총고분군(봉분 높이가 높은 고분군)으로 고분 80여 기가 자리하고 있다. 올해 4월부터 10월까지 발굴조사를 시행한 고분은 이중 30호분으로, 봉분 규모가 남북 17m, 동서 20m, 잔존높이 2.5m 내외의 타원형 형태다. 봉분 안에는 무덤 주인이 묻힌 돌널무덤 양식의 주곽 1기와 껴묻거리 등을 묻는 부곽 두 기가 배치되어 있다. 주곽은 당시 지표면과 흙 표면을 고른 후 1m 내외의 높이로 흙을 쌓고 다시 되파기해 쌓아 올렸다.


출토된 유물은 마구류와 각종 토기류다. 특히 30호분 주곽에서 확인된 마구류는 재갈, 발걸이, 말띠꾸미개, 말띠고리 등으로 다양하며 이중 재갈은 고령 지산동44호분, 합천 옥전M3호분, 함안 도항리22호분, 동래 복천동23호분 등 경상도 지역의 주요 가야 수장층 무덤에서 출토된 바 있다. 이 무덤의 주인공 역시 가야 수장층임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유물이다.

또한 목긴항아리, 목짧은 항아리, 그릇받침, 뚜껑 등의 토기류도 출토됐다. 출토된 토기들은 백제, 소가야, 대가야의 토기류와 혼재됐다. 고분 축조 집단이 전라북도 지역에서 생활하면서 다른 지역과 교류해온 사실과 생존 시 이뤄온 문화 양상 등을 추정할 수 있다.


이번 조사를 통해 30호분은 고분 축조방법과 출토유물 등을 미뤄볼 때 6세기 전반경의 고분으로 추정되며, 고분의 구조와 성격 등을 알 수 있는 자료가 확인되어 장수지역의 가야 묘제 연구에 있어 중요한 성과로 평가된다.


한편, 발굴조사 성과는 9일 오후 1시 발굴현장(전북 장수군 장수읍 동촌리 산26-1일원) 설명회를 통해 일반에 공개된다.




김세영 기자 ksy1236@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