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라스베이거스에 울려퍼진 수백발 총성…50여명 사망·200여명 부상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6초

라스베이거스에 울려퍼진 수백발 총성…50여명 사망·200여명 부상 총격 발생한 라스베이거스에서 도망치는 시민들. 사진=연합뉴스
AD


[아시아경제 이선애 기자] 미국 네바다 주 라스베이거스의 카지노 호텔 밀집 지역에서 1일 밤(현지시간) 한 괴한이 호텔 앞 콘서트장에 모인 시민들을 향해 무차별 총격을 가해 50여명이 사망하고 200여명이 부상하는 참극이 벌어졌다. 수백발의 총성이 울려퍼진 당시에는 일요일을 맞아 수만명의 시민과 관광객들이 여유롭게 음악 축제를 즐기던 때였다. 총격은 라스베이거스 스트립 지역에 있는 만델레이 베이 호텔 앤 카지노와 인근 거리에서 벌어졌다.

미국 언론과 현지 경찰에 따르면 한 명의 괴한이 이 호텔 32층에서 기관총으로 보이는 총기를 호텔 반대편 콘서트장을 향해 난사했으며, 콘서트장에 있던 상당수 시민이 총에 맞았다.


트위터 등 현장 시민들이 소셜미디어를 통해 전한 당시 동영상을 보면 관객들은 총소리와 함께 몸을 바닥에 숙이거나 비명을 지르며 흩어졌으며 군중들 사이로 총성은 쉬지 않고 울렸다.

경찰에 따르면 라스베이거스 시민인 범인은 이 호텔 32층에서 기관총으로 보이는 총기를 호텔 반대편 콘서트장으로 난사한 것으로 조사됐다.


당시 콘서트장에는 4만여명의 관객이 모여 있었다. 현재까지 집계된 사망자만 50여명, 부상자는 200명 이상에 달한다.


당시 현장에 있었던 관객들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처음엔 폭죽으로 생각했다가, 뭔가 잘못됐다는 걸 알고 황급히 몸을 피했다고 전했다. 달아나던 중 신발이 벗겨지고 몸이 긁히는 상황에도 신경 쓸 틈이 없었다.


총성이 울리자마자 관객들은 몸을 숙였다. 밴드는 곧바로 무대를 내려왔고, 조명등이 관객을 비췄다. 911과 경찰을 부르는 소리도 들렸지만, 총성은 끊이지 않았다.


한 목격자는 "처음엔 폭죽인 줄 알았다"며 "수백 발쯤 되는 것 같았다"고 말했다. 무대에서 가까이 있었다는 한 여성은 CNN에 "사람들이 갑자기 내려오는데 왜 갑자기 피하는지, 누가 총에 맞았는지도 알 수가 없었다"고 당시를 설명했다.


그는 "총성이 10∼15분간 멈추지 않고 계속됐던 것 같다"며 "그저 살기 위해 달렸다"고 말했다.


그의 여동생은 "총격이 잠시 멈춘 것처럼 보이자 노란색 셔츠를 입은 사람들이 '고(Go), 고, 고, 고'라고 말했다"며 "총격은 절대 멈추지 않고 계속됐다"고 말했다.


현장에 있었던 라디오 시리어스XM의 진행자 슈테르머 워런은 "처음엔 폭죽이 불발된 줄 알았다"며 "세 번째쯤 됐을 때 뭔가 잘못된 걸 알았다"고 설명했다. 포탄은 무대 위로 떨어졌고, "다시 보고 싶지 않은 두려운 상황이었다"고 전했다.


워런은 "차를 향해 달렸더니, 차 아래에 이미 숨어있는 사람들이 있었다"며 "부상자를 차 안으로 숨겼고, 그렇게 6명이 차 안에 있었다"고 말했다.


끊이지 않은 총성은 콘서트장 밖에서도 공포를 유발하기에 충분했다.


만델레이 호텔 맞은편에서 창문을 통해 사고 장면을 목격했다는 브라이언 하이프너는 "사람들이 뛰쳐나오는 걸 보고는 방으로 돌아와 방문을 잠그고 불을 껐다"고 말했다.


다만 아직 한인 피해는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라스베이거스 관할 재외공관인 주 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은 "외교부 본부와 재외공관이 사건 발생과 함께 현지 영사협력원, 한인회 등을 통해 우리 국민 피해 여부를 파악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확인된 한인 피해는 없다"고 말했다.


LA 총영사관은 "우리 국민의 피해 여부를 지속해서 확인하고 안전 확보를 기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현지 한인 민박 등지에도 수십여 명의 한인 관광객들이 묵고 있는데 현재 신변 안전이 확인된 상태다.


소셜미디어에는 라스베이거스 스트립 지역에 묶고 있는 한인 관광객들이 만델레이 베이 호텔에서 총격 사건이 발생한 직후 경찰의 통제로 대피했다거나 인근 호텔 객실에서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는 글이 올라왔다.


일부 한인 관광객은 라스베이거스 맥커렌 국제공항에서 항공기 출·도착 통제로 발이 묶이기도 했다. 맥커렌 공항의 항공편은 2일 새벽 1시께부터 정상 운행되고 있다.




이선애 기자 lsa@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