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생리대 평가결과]식약처 "인체 유해 수준 아니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여성환경연대 결과 반박…1차 전수조사결과 발표

[생리대 평가결과]식약처 "인체 유해 수준 아니다"
AD

[아시아경제 서소정 기자]한 여성시민단체가 생리대에서 유해물질이 검출됐다고 발표해 논란이 있었으나, 정작 보건당국이 조사해보니 인체에 유해한 수준이 아니라는 결과가 도출됐다. 결과의 정확성을 두고 논란이 재차 불거질 것으로 보인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8일 시중에 유통 중인 모든 생리대 종류를 수거해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10종 검출 여부를 알아본 결과, VOCs 검출량이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식약처는 2014년 이후 국내 제조ㆍ수입된 생리대(해외직구 포함)와 팬티라이너 총 666품목(61개사), 기저귀 10품목(5개사)을 대상으로 위해성 평가를 실시했다. 총 84종의 VOCs 중 생식독성, 발암성 등 인체 위해성이 높은 에틸벤젠ㆍ스티렌ㆍ클로로포름 등 10종에 대해서 우선 조사한 것이다. 식약처는 올해내로 나머지 74종의 VOCs에 대한 2차 전수조사와 위해평가를 실시하고, 농약 등 기타 화학물질에 대해서는 내년 5월까지 검사를 완료할 예정이다. 또 생리대 사용자의 건강이상 원인을 밝히기 위해 부작용 사례조사와 역학조사를 환경부ㆍ질병관리본부와 공동으로 추진키로 했다.


식약처는 생리대에 존재하는 VOCs를 측정할 수 있는 공인된 시험법이 없어 최대 함량을 측정할 수 있는 함량시험법을 적용해 이번 실험을 진행했다. 생리대를 초저온(-196℃)으로 동결ㆍ분쇄한 후 고온(120℃)으로 가열해 방출된 VOCs를 기체 크로마트그래피-질량분석기법으로 측정한 방식이다. 이에 따라 생리대의 VOCs가 인체에 흡수되는 전신노출량과 독성참고치를 비교해 안전한 수준인지를 평가했다고 했다.


평가결과 1회용 생리대는 성분별로 9∼626, 면생리대는 32∼2035, 팬티라이너는 6∼2546, 공산품 팬티라이너는 17∼12854, 유기농을 포함한 해외직구 1회용생리대는 16∼4423의 안전역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안전역은 VOCs가 인체에 흡수되는 전신노출량과 인체에 독성을 나타내는 양인 독성 참고치를 비교한 값으로 1 이상일 경우 안전한 것으로 평가된다고 식약처는 밝혔다. 식약처는 "앞으로 사용원료, 제조공정 분석을 통해 VOCs의 발생 원인을 규명하고, 업계 자율협약을 통해 저감화 가이드라인을 개발ㆍ보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앞서 여성환경연대는 한 대학에 의뢰해 1회용 생리대 10개 제품을 대상으로 VOCs 검출 시험을 실시한 결과, 일부 제품(깨끗한나라 제조)에서 유해물질이 검출됐다고 밝혀 논란이 일었다. 특히 특정 생리대를 사용한 뒤 부작용을 겪은 사례가 다수 공개되며 생리대 유해물질 공포증이 사회 전반에 확산되기도 했다.




서소정 기자 ssj@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