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허진석의 몸으로 쓰는 이야기] 흥부가 기가 막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9초

[허진석의 몸으로 쓰는 이야기] 흥부가 기가 막혀 허진석 문화스포츠 부국장
AD

형님 댁에서 쫓겨난 흥부. 아이 만드는 재주가 절륜하나 호구지책은 묘연하여 식구들은 굶기가 예사다. 이러다 죽겠다 싶어 읍내에 가 환자(還子)를 청하려 한다. 환자란 조선 시대, 각 고을에서 흉년이나 춘궁기에 곡식을 빈민에게 대여하고 추수기에 이를 환수하던 제도이다. 흥부가 사정을 말하자 호방(戶房)은 말을 돌린다. "박 생원, 품 하나 팔아 보오."


 고을 좌수 대신 곤장(棍杖) 열 대만 맞으면 한 대에 석 냥씩 서른 냥에다 말 타고 갈 삯으로 닷 냥을 더 주겠다는 소리가 아닌가. 정신이 번쩍 든 흥부가 착 달라붙는다. "매품 팔러 가는 놈이 말 타고 갈 것 없고, 내 정강말로 다녀올 테이니 그 돈 닷 냥을 나를 내어 주제." 돈 닷 냥을 받아 들고 흥부가 희희낙락하여 읊는다. "얼씨구나 좋구나 돈 봐라 돈 돈 봐라 돈, 돈, 돈, 돈, 돈을 봐라 돈…."

 좋아하긴 일렀네. 흥부는 되는 일 없는 남자. 매를 맞으러 가니 사령이 나와 알린다. "박 생원 대신이라 하고 와서 곤장 열 대 맞고 돈 서른 냥 받아 가지고 벌써 갔소." 흥부가 기가 막혀 묻는다. "아이고, 그 놈이 어떻게 생겼던가?" "키가 9척이요, 기운이 좋습디다. 놀먀한 쉬염에 아조 매를 썩 잘 맞습디다." 낙담한 흥부가 집에 돌아가니 아내가 덩실덩실 춤을 춘다. "우리 낭군 살아 돌아왔다"며.


 '흥보가'만 보고 "곤장, 그거 맞을 만했나 보네"하고 생각했다면 그 생각 고치기 바란다. 역사학자 심재우가 한국역사연구회 홈페이지에 기고한 '죄와 벌의 사회사-곤장에 대한 오해와 진실'에 이런 글이 보인다. "곤장을 잘못 맞았다가는 속된 말로 뼈도 추스르기 힘들었는데, 한말 선교사들이 남긴 견문기에서는 불과 몇 대에 피가 맺히고 십여 대에 살점이 떨어져 나가더라고 곤장을 맞던 죄인의 참상을 전하고 있다."

 곤장은 모두 다섯 가지였다. 중곤(重棍), 대곤(大棍), 중곤(中棍), 소곤(小棍)과 치도곤(治盜棍). 치도곤은 포도청, 유수, 감사, 통제사, 병사, 수사, 토포사, 겸토포사, 변방의 수령, 변장(邊將) 등이 도적을 다스리거나 변정(邊政)ㆍ송정(松政)에 관계된 일에만 사용할 수 있었다. 길이는 약 173㎝, 두께는 약 3㎝, 너비는 약 16㎝였다. 흥부가 매품 팔기에 성공했다면 치도곤을 맞았으리라.


 흥부가 매를 맞아서라도 얻고자 했던 돈. 돈이 무엇이던가. 흥부가 아내에게 풀어놓나니. "이 사람아 이 돈 근본을 자네 아나? 잘난 사람도 못난 돈, 못난 사람도 잘난 돈, 맹상군의 수레 바퀴처럼 둥글둥글 생긴 돈. 생살(生殺)지권을 가진 돈. 부귀공명(富貴功名)이 붙은 돈. 이놈의 돈아! 아나 돈아! 어디를 갔다 이제 오느냐." 하, 눈물이 난다!


 이 눈물이 어찌 소리판의 해학에 머무르겠는가. 화장실에서 식사를 해결하고 아무도 보지 않는 구석진 곳에서 지친 몸을 달래는 극빈의 삶이 우리 주변에서 숨 쉬고 있다. 이토록 절박한 가난, 그러나 삶을 향한 굳은 의지는 볼기를 맞아서라도 식솔을 거두려는 흥부의 마음과 다를 바 없지 않은가. 절박한 약자들이 무릎 꿇어 선의를 호소하는 시대는 결코 정의로울 수 없다. huhball@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