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장성군 '농산물 안정적 판로 열렸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3초

신선 농축산물 직거래 장터 ‘로컬푸드 직매장’ 개장… 임시개장 때 인기


[아시아경제 문승용 기자] 임시 개장하자마자 지역민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은 ‘옐로우시티 장성군 남면농협 로컬푸드 직매장’(이하 ‘장성 로컬푸드 직매장’)이 정식 개장했다. 지역민들이 건강한 식생활과 함께 지역 농민의 소득 증대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장성군과 남면농협은 31일 진원면 하서대로(333-2)에 위치한 장성 로컬푸드 직매장에서 유두석 장성군수와 이개호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개장식을 열고 지역 농수축산물의 본격적인 판매에 돌입했다.


로컬푸드 직매장은 지역 농민이 자기가 생산한 농산물을 지역 주민들에게 판매하는 일종의 ‘직거래 장터’다.

유두석 장성군수는 취임 직후 농협이 장성에 장성군농산물산지유통센터를 설립했을 때 농협중앙회에 강력하게 건의해 장성 로컬푸드 직매장을 유치했다.


996㎡ 규모의 장성 로컬푸드 직매장은 로컬푸드 매장, 공산품 매장, 정육·수산 매장, 카페 등을 갖추고 있다. 200여명에 가까운 농업인들이 300개가 넘는 품목을 출하하고 있다.


장성 로컬푸드 직매장의 경영 원칙은 ▲지역에서 생산 및 가공한 농식품만 판매 ▲농협에서 교육을 이수하고 농협과 출하 약정을 한 농업인만 출하 ▲농업인이 직접 포장하고 가격 결정 ▲당일 판매하고 남은 농산물은 농업인이 직접 수거 ▲신선 농산물은 당일만 유통 ▲모든 농산물에 농업인 정보 기재 ▲중소 농업인·고령 농업인·여성농업인·귀농 농업인 우대다.


일반적인 상품은 생산자에서 소비자까지 6단계를 거치지만 로컬푸드는 이 단계를 대폭 줄여서 2단계 이하의 최소 유통단계를 거친다. 도매업자나 소매업자가 전혀 개입하지 않기 때문에 건강한 식재료를 값싸게 구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생산자와 소비자가 모두 상생할 수 있는 선진 판매장인 셈이다.


장성군에 따르면 장성 로컬푸드 직매장은 지역민의 건강 식생활에도 기여한다. 현재 한국에서 생산하는 농산물은 유통 과정이 복잡하기에 신선 농산물을 구입하는 데 한계가 있다.


로컬푸드 직매장은 안전하고 신선한 농산물을 판매하기에 건강 식탁을 만드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먹을거리 문제와 식생활 문제가 갈수록 심각해지는 상황에서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지역의 신선한 농축산물을 소비자들에게 직거래로 판매하자는 ‘로컬푸드 운동’이 벌어졌다.


로컬푸드 직매장은 농업인들의 소득 증대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조그만 텃밭에서 키운 적은 양의 농산물이라도 얼마든지 로컬푸드 직매장에 가져와판매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용돈벌이를 위해 매일 직매장을 찾는 어르신도 있다고 장성군은 밝혔다.


장성 로컬푸드 직매장은 개장하자마자 지역민은 물론 인근 도시 주민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남면농협에 따르면 임시 개장 후 한 달 동안 약 3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정식 개장하지 않아 입소문이 부족한 상황에서 이 같은 매출 수치는 매우 양호한 실적이라고 남면농협은 밝혔다.


유두석 장성군수는 “대량 생산한 농산물보다 색이나 모양이 예쁘지 않을 수는 있지만 매일 풀을 뽑고 물을 줘가며 자식처럼 기른 농산물의 맛과 영양은 무엇과도 비교할 수 없을 것”이라면서 “로컬푸드 직매장이 우리 농업인과 소비자가 모두 상생할 수 있는 희망의 장터로 성장하기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장성 로컬푸드 직매장으로 하면 된다.




문승용 기자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