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금융꿀팁]음주운전 절대 안됩니다…보험서도 불이익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4초

[아시아경제 박소연 기자]음주운전을 하면 일단 운전면허가 정지 또는 취소되고 형사상 처벌을 받는다. 3년 이하의 징역이나 1000만 원 이하의 벌금도 부과된다.


자동차보험에서도 수많은 불이익과 제재가 뒤따른다.

우선 보험료가 오른다. 음주운전 1회 적발시에는 10%, 2회 이상은 20% 할증된다. 사고가 났다면 사고에 따른 할증에 음주 할증이 추가된다.


보험료 할증을 피하려고 보험가입자를 가족이나 소속 법인으로 바꿨다가 발각되면 보험료가 최대 50% 할증될 수 있다.

음주운전으로 낸 사고를 자신의 보험으로 처리할 경우 운전자는 최대 400만 원의 사고 부담금을 내야 한다. 대인 보상이 300만 원, 대물 보상이 100만 원이다.


가령 음주운전 사고로 부상 치료비 400만 원과 차량 파손 수리비 300만 원을 물어줘야 한다면, 이 가운데 각각 300만 원과 100만 원은 자신이 내야 한다. 나머지 300만 원만 보험사가 지급한다.


자동차보험에 가입할 때 여러 특약에 가입하면 보장 범위가 확대되지만, 음주운전이라면 이들 특약의 혜택을 보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과거 1∼3년 사이에 음주운전 경력이 있으면 보험사들은 임의보험 가입을 거절하고 있다.


과거 2년 동안 음주운전 경력이 2차례 이상이라면 의무보험 가입조차 거절돼 보험료가 크게 할증되고 담보도 제한된다.


음주운전 차량에 함께 탄 사람도 책임에서 벗어날 수 없다. 음주 사고를 낸 운전자의 자동차보험으로 피해를 보상받을 때 40% 감액된다.




박소연 기자 mus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