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4차산업혁명 일자리 창출…"민관 공동데이터 구축, 정책지원"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6초

[아시아경제 김대섭 기자]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따른 새로운 일자리는 장기적으로 개인중심과 지역사회 공동체 기반에서 창출될 것으로 분석됐다. 민관협력을 통한 공동활용 데이터 구축과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린 '일자리 창출 전략과 전망' 정책토론회에서 장윤종 산업연구원 4차산업혁명연구부장은 "새로운 일자리는 단기적으로는 인공지능, IoT 등 신기술 산업과 데이터기반 산업재편에서 창출될 것으로 보인다"며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개인중심, 지역사회 공동체 기반에서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이어 "데이터 경제 실현에 초점을 맞추고 민관협력을 통한 공동활용 데이터 구축 및 제도, 정책적 지원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행사는 민간의 일자리 창출 전략과 중소기업 일자리 창출방안 공론의 장을 마련하기 위해 중기중앙회와 한국고용복지학회가 공동으로 개최했다. 이수일 한국개발연구원 규제연구센터소장은 '민간의 일자리창출 전략과 기업간 공정거래ㆍ상생협력'에 대해 발표했다.

이 소장은 민간의 좋은 일자리 창출 기본전략으로 ▲규제혁신 ▲공정거래 확립 ▲정부지원 합리화 ▲교육ㆍ훈련혁신 ▲고용안전망 확충을 제시했다. 그는 "기업간 공정거래와 상생협력이 중요하다면 중장기 정책 과제로는 수평적 네트워크 강화와 상생형 네트워크 강화, 개방형 네트워크 강화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토론회에서는 일자리 정책 방향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제시됐다.


노민선 중소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향후 일자리 정책방향을 연구개발(R&D) 등 괜찮은 일자리 중심으로 옮겨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 "최근 들어 최저임금 인상 등 중소기업의 비용부담이 증가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기술 기반의 초기 창업기업에 대한 각종 부담금이나 수수료를 면제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이응기 공주대학교 교수는 "기업소득 증가율이 경제성장률보다 높다는 것은 생산부문으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으로 각 경제주체별 이윤율의 균형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제조업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 산업구조에서 제조업의 4차 산업혁명 적응력 향상을 통한 일자리 창출 전략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일자리 창출 방향이 투트랙으로 진행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이의현 한국금속공업협동조합 이사장은 "양질의 일자리 창출 환경을 조성하는 정부의 역할과 일자리 창출 분위기 확산과 중소기업 스스로 고용을 창출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하는 투트랙으로 진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대섭 기자 joas1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