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文 정책에 채권시장 '불안불안'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8초

[아시아경제 박나영 기자]문재인 정부의 정책이 하반기 채권시장의 주요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재정확대에 필요한 추가 재원 마련에 대한 우려와 함께 청와대발(發) 기준금리 인상설까지 나돌면서 채권투자에 대한 경계심리가 커지는 양상이다.


10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전날 중단기물인 국고채 3년물과 5년물의 금리가 연중 최고치를 경신했다. 국고채 3년물 금리(수익률)는 전날 대비 0.028%포인트 오른 1.833%에 거래를 마감하며 직전일의 연중 최고치 기록을 깼다. 국고채 5년물 금리도 0.032%포인트 오른 2.038%를 기록하며 2년여 만에 최고치로 올랐다. 채권금리가 오르면 채권가격은 내려가며, 이는 채권 시장이 약세를 보인다는 의미이다.

전날 채권금리의 급등은 한반도 지정학적 리스크가 고조된 영향이 컸다. 그러나 지난 7일 김현철 청와대 경제보좌관이 한국은행의 연내 기준금리 인상을 예고하는 듯한 발언을 내놓으면서 이미 시장의 약세흐름이 짙어지고 있었다. 김 보좌관이 "기준금리는 한은의 고유 권한이지만 1.25%인 현 상황은 문제가 있다"고 밝힌 후 8ㆍ2 부동산정책과 맞물려 한은의 기준금리가 인상될 수 있다는 우려감이 시장에 반영되기 시작한 것이다.


전문가들은 그러나 연내 기준금리 인상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데 의견이 일치한다. 김동원 SK증권 연구원은 "최근 부동산 가격상승에 대해 정책금리 인하만을 탓하기 어렵다"면서 "금리정책과 주택가격의 상관관계가 명확하지 않은 상황에서 매우 강력한 정책으로 해석되는 8ㆍ2 대책의 효과를 확인도 하지 않은 채 정책금리 인상을 결정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재정지출 확대에 따른 재원 조달 우려도 하반기 채권시장의 긴장감을 높일 가능성이 있다. 정부는 앞서 향후 5년간 공약추진을 위해 추가 재원 178조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안재균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정부의 계획대로 진행되지 않을 경우 연평균 3조~26조원의 재원이 부족하게 돼 적자 국채발행이 불가피해진다"며 "실질적 수급에 부담을 줄지 여부는 4분기 전후로 확인 가능하겠지만 단기적으로 채권투자 경계심리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




박나영 기자 bohena@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