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백운규 산업부 장관 후보자 "원전 줄여나갈 것…제조업 부흥전략 마련"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6초

백운규 산업부 장관 후보자 "원전 줄여나갈 것…제조업 부흥전략 마련" 백운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후보자.
AD


[아시아경제 조슬기나 기자]백운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후보자는 19일 "안전성과 환경에 대한 우려가 있는 원전과 석탄발전을 점진적으로 줄여나가고, 대신 청정에너지인 신재생에너지와 가스 기반의 전력공급을 늘려 맑은 공기와 안전한 사회를 앞당기겠다"고 밝혔다.

백 후보자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 참석해 "산업, 무역, 통상, 에너지를 포함한 실물경제 정책을 총괄하는 산업통상자원부의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이라며 이 같이 말했다.


그는 "최근 세계경제는 보호무역의 확산 등 불확실성이 증대되고 4차 산업혁명 등 산업구조의 재편이 본격화되면서 한치 앞을 내다보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양적인 성장을 해도 고용은 늘지 않고 기업·지역·계층 간 양극화가 심화되는 등 성장의 과실이 우리사회 전반에 골고루 확산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백 후보자는 먼저 "미래형 신산업의 육성과 주력산업 경쟁력 제고로 산업의 활력을 제고하겠다"며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해 우리만의 강점인 세계적 수준의 제조업 경쟁력과 ICT 인프라를 융합해, 친환경·스마트카, 지능형 로봇, 첨단 신소재 등 미래 신산업을 창출하는데 선도적인 역할을 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어 "스마트공장 구축, 뿌리산업 육성 등을 포함한 제조업 부흥 전략을 신속히 마련해 우리 주력산업의 체질을 개선하고 경쟁력을 강화하는데 힘쓰겠다"며 "주력산업의 구조조정은 실기하지 않도록 신속하게 추진하되, 구조조정에 따른 지역경제나 중소기업, 근로자들의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역점을 두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전 지역이 고르게 잘 사는 국가균형발전을 추진하기 위해 지역별로 특성에 맞는 발전전략을 모색하고 혁신도시와 산업단지를 활력이 넘치는 지역의 신성장 거점으로 육성하겠다"며 "수출과 투자 증가가 좋은 일자리 창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중소·중견기업과 서비스산업의 수출을 확대하고 외국인투자와 유턴기업 정책도 근본적으로 개편하겠다"고 언급했다.


백 후보자는 대외 여건과 관련해서는 "보호무역에 대응하는 원스톱 지원체계를 구축해 우리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한편, 9월 아셈(ASEM) 경제장관회의를 성공적으로 개최해서 국제사회에서 보호무역 대응 논의를 주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의 한·미 FTA 개정 요구에 대해서는 국익극대화와 이익균형의 원칙하에 당당하게 대응하고, 중국, 일본과는 전략적 경제협력을 강화해 경제적 실리를 제고하겠다"며 "당면한 통상현안에 대해서는 범정부적 공조를 통해 철저히 대응하고, 민관의 통상전문성을 강화하는 등 통상역량의 확충에도 적극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을 가속화하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백 후보자는 "친환경 미래에너지의 육성과 탈원전으로 안전하고 깨끗한 에너지로 전환하겠다"며 "에너지 정책은 국민들의 삶과 밀접하게 연관돼 있는 만큼, 탈원전 등 에너지 믹스의 전환 과정은 전문가 의견 수렴 등 충분한 논의를 거쳐 사회적 합의를 바탕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미래 청정에너지인 신재생에너지의 경우 경제성 개선과 과감한 투자 등을 통해 발전비중을 확대하고, 4차 산업혁명과 연계해 에너지신산업을 새로운 먹거리 산업으로 육성하겠다"며 "에너지는 공급을 늘리는 것 못지않게 수요 측에서 낭비를 줄이는 것이 중요한 만큼 ICT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수요관리를 통해 저탄소·고효율 에너지 구조로 전환하겠다"고 덧붙였다.




세종=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