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宋·趙 임명’ 강행-연기 놓고 靑-與 한밤 줄다리기…野와 물밑접촉 없어(종합)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4초

청와대 “송부기한 끝났다…강행”


우원식 “정상화·파국 분기점, 며칠간 시간 달라“ 강력 요청

한 명 낙마 등 협상 관측 빗나가


與野 막판 협상도 불투명


[아시아경제 오상도 기자, 부애리 기자] 청와대가 '안갯속 정국'의 분수령이 될 송영무(국방부)ㆍ조대엽(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의 임명 강행을 고집했던 것으로 확인되면서 여야가 좀처럼 국회 정상화의 돌파구를 찾지 못하고 있다. 장관 인사를 놓고 국회가 멈춰선 가운데 여야 간 치열한 물밑 협상이 진행 중일 것이란 세간의 관측도 엇나갔다.


우원식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11일 "어젯밤 청와대가 송영무ㆍ조대엽 후보자의 임명(강행) 입장을 밝혔으나 국회 정상화를 위해 며칠간 시간을 달라고 강력하게 요청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우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민주당 원내대책 회의에서 "정국이 정상화되느냐, 파국으로 가느냐는 분기점에 이르렀다"며 "청와대가 어젯밤 정무수석을 통해 인사청문경과보고서 재송부 기한이 끝났기에 (송ㆍ조 후보자를) 부득이하게 내일 임명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고 전했다.


그는 "정말 마음이 무거웠다"면서 "고심 끝에 국회에서 추가경정(추경)안 처리 등 정상화의 마지막 노력을 할 수 있도록 대통령께 며칠간 시간을 달라고 요청했다"고 덧붙였다. "추경 편성은 문재인 대통령이나 민주당을 위한 것이 아니고 너무나 절박한 일자리 등 민생문제 해결을 위한 최소한의 조치임을 잘 알고 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우 원내대표의 설명대로라면 청와대와 여당이 국회 정상화를 위해 송영무ㆍ조대엽 후보자 중 적어도 한 명을 낙마시키는 카드를 고려 중이라는 관측도 엇나간다. 반면 국회가 파국으로 치닫지 않고 정상화의 해법을 모색할 시간을 적어도 하루나 이틀 벌었다는 얘기가 된다.


하지만 막판 협상이 가능할지는 여전히 불투명하다. 청와대와 여당은 여전히 "자체적으로 문제가 없는 인사이지만 정치적 판단을 하도록 강요받고 있다"는 입장이다. 반면 야당은 "일고의 가치도 없다"며 송영무ㆍ조대엽 후보자에 대한 불가 입장을 재확인했다.


정우택 자유한국당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원내대책회의에서 "(청와대와 여당이) 야당의 반응을 보려고 (송ㆍ조 후보자의) 임명을 며칠 연기한다고 한다"며 "(당ㆍ청이) 꼼수 정치를 생각하고 있어 한숨만 나온다"고 말했다. 이어 "독선적인 국정운영에 협력할 수 없다"면서 "문 대통령이 결자해지의 자세로 풀어 달라"고 요구했다.


김동철 국민의당 원내대표도 오전 회의에서 "(당ㆍ청은) 국민의당에 어떤 연락도 없었다"면서 "(송ㆍ조 후보자의) 임명 강행은 국회 청문제도를 부정하는 것으로 더 이상 국정운영에 협조할 수 없다"고 못 박았다.


주호영 바른정당 원내대표도 아시아경제와의 통화에서 "여권에서 아직 협상 요청이 없었다"면서 "제안이 들어오더라도 받아들일 수 없다. 두 사람 중 누가 장관감이냐"고 따져 물었다.


여권 핵심 관계자는 "야 3당이 (송ㆍ조 후보자의) 자진 사퇴나 지명 철회를 요구하며 평행선을 그리고 있다"면서 "우여곡절 끝에 열린 7월 임시 국회도 개점휴업을 이어가다 빈손으로 폐업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오상도 기자 sdoh@asiae.co.kr
부애리 기자 aeri345@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오상도 기자 sdoh@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