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500대 기업 근로자 절반이 '호봉제'…생산직 가장 많아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9초

한경연, 대기업 근로자 임금체계 조사
호봉급 43%-직능급 34%-직무급 13% 순


[아시아경제 김혜민 기자] 매출액 기준 500대 기업에 다니는 근로자들의 절반 가량이 호봉제(근속연수) 방식으로 임금을 받는 것으로 조사됐다.

18일 한국경제연구원이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한 '2017년 500대 기업 임금체계 현황조사'에 따르면 응답기업 199곳 중 기본급에 대해 호봉급을 적용받는 근로자수 비중은 43.1%에 달했다. 직능급은 34.6%, 직무급은 13.5%로 조사됐다.


다만 전년과 비교하면 호봉급을 적용받는 근로자수 비중은 0.2%포인트 감소에 그쳐 정체상태에 머물렀다. 직능급과 직무급 근로자수 비중은 각각 0.4%포인트, 2.8%포인트씩 소폭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500대 기업 근로자 절반이 '호봉제'…생산직 가장 많아  ▲500대 기업 근로자가 적용받는 임금체계 유형(2016년→2017년)
AD


직종별로는 생산직과 판매·서비스직에서 '호봉급' 비중이 가장 높았다. 생산직 근로자는 호봉급이 70.6%, 직능급과 직무급은 각각 15.2%, 5.2%에 그쳤다. 판매·서비스직은 호봉급이 42.2%, 직능급 30%, 직무급 30.1%로 조사됐다. 반면 사무직 근로자는 직능급이 57.7%로 가장 높았다. 직무급은 19.7%, 호봉급은 13.2%에 그쳤다. 연구직 근로자는 직능급 41.7%, 호봉급 36.4%, 직무급 12.1% 순으로 나타났다.


응답기업 199곳 중 호봉급이 있는 곳은 151개사였다. 이들은 호봉급으로 인한 어려움으로 근로자 성과관리 어려움(38.4%)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장기근속자 고용유지 부담(33.8%) ▲경기변화에 능동적 대처 애로(20.5%) 순으로 답했다. 호봉급 체제를 유지하는 가장 큰 이유로는 기존 관행(32.5%)과 노조의 호봉급 폐지 반대(31.1%)를 높게 곱았다. 호봉제의 대표적인 장점으로 알려진 '근로자의 장기근속 유도'는 11.3%에 그쳤다.


응답기업의 42.7%는 현행 임금체계로는 '성과가 달라도 보상수준이 비슷해 무임승차자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가장 큰 문제점으로 인식했다. 직무별 임금차등이 어려워 고급인력 유치에 난항을 겪는다는 답변도 32.2%에 달했다. 이밖에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 어려움(11.6%), 고용에 부정적 영향(4.5%) 순이었다.


올해 중점적으로 추진하는 임금체계 개선 사항으로는 '기본급 인상률을 차등하는 제도 도입'(40.0%), '임금에 연공성을 줄이고 성과급 비중을 확대'(24.5%), '업무의 중요성·난이도를 임금 수준에 반영'(21.0%) 등의 순이었다.


대기업들은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향하는 임금체계로 '업무의 성격과 난이도에 따라 임금이 달라지는 직무급'을 모든 직군에서 공통적으로 1순위로 꼽았다. 두번째는 능력에 비례해 임금을 지급하는 직능급이 많았고 호봉급은 가장 낮았다.


한경연은 "해외 선진국에서는 직무, 직능급이 보편적이고 호봉급 중심으로 알려진 일본에서도 이미 직무·직능급이 주된 임금체계로 자리잡았다"며 "우리나라의 많은 대기업이 임금체계가 장기적으로 ‘직무급’ 중심으로 개편되어야 한다고 보는데,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정부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혜민 기자 hmee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