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서울시 재생정책]소개발이 살아난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5초

[아시아경제 배경환 기자] 서울시가 맞춤형 도시재생 정책에 힘을 싣고 있다. 50조원이 투입되는 새 정부의 도시재생사업에 맞춰서다. 취임 후 줄곧 전면철거식 개발을 지양했던 박원순 서울시장의 이른바 '소개발' 정책이 가사화되는 모양새다.


[서울시 재생정책]소개발이 살아난다 지난해 뉴타운 구역에서 해제된 창신·숭인 지구 전경
AD

특히 서울시는 새 정부 출범 후 불과 보름만에 세 차례의 도심개발 정책을 내놨다. 문재인 대통령 취임 직후 내놓은 정책은 비 강남권 개발안. 지역별 자족성을 강화하고 서울의 지역균형성장을 끌어내기 위해서다. 상대적으로 저개발·소외된 강북권을 중심으로 한 생활권 정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지난주에는 상권이 형성된 도심지를 대상으로 한 소규모 정비안도 공개했다. 건물주나 상인 등 지역 주체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비용을 투자해 인근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는 방식이다. 대상지는 상권이 몰려있는, 걸어서 5~10분 거리의 도심지다. 기존 도시재생사업은 공공이 마중물 사업 등을 통해 선지원하고 이를 동력으로 주민참여를 이끌어내는 방식으로 전개됐다. 하지만 이번 사업은 공공투자에 집중하기보다는 이해관계집단이 있는 지역의 건물주, 상인 등이 처음부터 끝까지 참여해서 활성화 프로그램을 기획·추진한다.


예컨대 다동·무교동 지역 내 어린이재단은 비용을 투자, 바로 앞 공공도로에 잔디광장을 조성하기로 했다. 부지 관리도 그동안 중구청에 권한이 있었지만 어린이재단에 위임, 관리하게 된다. 서울파이낸스센터도 비용을 투자해 건물 앞 소규모 공원을 정비하기로 했다. 장기적으로는 다동·무교동 내 기업과 상인이 회비를 납부해 지역발전, 지역문화행사를 위한 비용으로 사용하는 등 지역의 주체들이 자체적으로 지역을 관리할 수 있는 자생력을 확보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서울시는 지난해 9월부터 총 36회의 설명회·간담회를 진행해 공감대를 형성했다. 또한 지역 내 70여개 소규모 상인들로 구성된 '상인협동조합'과의 유기적인 협력체계도 구축했다. 11개 대형 건물과는 '기업협의체'를 구성해 임의단체로 발족했다.


이와함께 기존 및 새로 도입되는 정비사업의 문제점을 분석해 중앙정부와 제도 개선에 나서기로 했다. 자체적으로는 정비사업 체계 개편에 따른 새로운 정책방향을 설정하고 자치법규 개정안도 마련한다. 다양한 도시재생 사업이 추진 중에 있지만 재원이나 제도적으로 지원 받아야할 부분이 많다는 판단에서다.


서울시 관계자는 "새 정부가 박 시장의 주택정책과 같은 방향에 있어 앞으로는 범정부적인 차원에서 다양한 도시재생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배경환 기자 khba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