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농진청, 아카시아꿀 헬리코박터균 억제 효능 확인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0초

농진청, 아카시아꿀 헬리코박터균 억제 효능 확인 아카시아 꿀 채밀
AD


[아시아경제 오현길 기자] 농촌진흥청은 아카시아꿀이 위암 발병인자로 알려진 헬리코박터균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4일 밝혔다.

농진청이 국내 생산 아카시아꿀에서 항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물질인 아브시스산을 분리해 조사를 실시한 결과,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 생장 억제 효과가 탁월한 것으로 확인됐다.


아브시스산은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균에 대해 최소성장억제농도 2.7㎍, 최소살균억제농도 6.9㎍으로 매우 높은 항균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아카시아꿀 1㎏에 아브시스산은 24㎎ 가량 포함돼 있으며, 다른 꿀에서는 극히 미량으로 존재하거나 확인되지 않았다.


헬리코박터균 생장 억제 농도 함량을 고려할 경우 따뜻한 물에 차 숟가락으로 1/4 분량의 아카시꿀을 타서 마시면 위장 보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은 위염 환자에서 높은 비율로 검출되는 것이 알려지면서 현재 위궤양, 위염, 위암 및 십이지장 궤양의 발병인자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특허출원을 완료했으며, 국제 학술지인 '생약학매거진(Pharmacognosy Magazine)'에 게재됐다.


농진청은 향후 건강기능식품이나 신약 개발을 희망하는 산업체를 대상으로 기술 이전할 계획이다.


한상미 농진청 잠사양봉소재과 농업연구관은 "국산 아카시아꿀의 항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효능이 밝혀짐에 따라 일반 식품은 물론 건강기능성 식품과 의약품까지 활용 범위가 커질 것"이라며 "양봉농가 소득 증대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한편 우리나라 벌꿀 생산액은 2014년 기준 2236억원으로 아카시아꿀은 70∼80%로 비중이 가장 높다. 최근 귀농귀촌 영향으로 양봉농가가 증가해 2015년 2만3000 농가에 이르고 있다.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