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요리를 예술로…‘푸드 카빙’을 아시나요?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4초

요리를 예술로…‘푸드 카빙’을 아시나요? 지난 13일 열린 ‘호남대 위탁어린이집 제 1회 어울림 한마당’에서 정윤서 대표(오른쪽)와 아들 성은창 씨, 그리고 제자 선혜원 양이 재능기부로 ‘푸드 카빙’ 솜씨를 뽐내고 있다.
AD


"광주전남 푸드카빙 마스터 제 1호 정윤서 씨, 각종 국내대회 석권"
"호남대 대학원서 호텔경영학 연구…학원 열어 후진양성 적극 나서"

[아시아경제 노해섭 기자]“요리를 예술로 승화 시키는 카빙 교육을 전문적이고 체계화 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으로 ‘푸드 카빙’의 대중화에 앞장서겠습니다.”


호남대학교 대학원 호텔경영학과(학과장 이희승) 석사과정에 재학 중인 정윤서 씨는 푸드카빙 학원인 ‘S광주카빙’ 대표이자 광주·전남 최고의 푸드 카빙 마스터이다.

광주·전남 푸드 카빙(carving) 마스터 제 1호인 그녀의 칼놀림에 김치 재료인 무는 우아하게 날아오르는 학으로 탈바꿈하고, 당근은 포효하는 호랑이로, 때로는 금세라도 하늘로 승천할 듯 한 용으로 바뀐다. 마음만 먹으면 수박이나 사과도 순식간에 화려한 봉황이나 꽃 등 다양한 모습으로 변신 시킨다.


무, 당근, 수박 등 야채와 과일에 정교한 조각을 해 다양한 예술작품을 창조해 내는 푸드 카빙은 일반인에게 생소하게 들릴지 모르겠지만 과일이나 야채 등 음식재료를 이용해 다양한 모양을 연출함으로써 완성된 음식을 돋보이게 하는 장식기술이다.


광주카빙 정윤서 대표는 13년간 한식 음식점을 운영하면서 ‘음식을 돋보이고 고급스럽게 할 수 있을까?’라는 계속되는 고민에 우연히 푸드 카빙을 접했고 지금은 국내에서 인정받는 최고의 마스터로 활동 중이다.


광주전남에 카빙을 배울 수 있는 곳이 없어 2년간 서울을 수 백 번을 왕복하며 배웠다는 정 대표는 “재능도 필요하겠지만 본인의 관심과 노력은 절대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요리를 예술로…‘푸드 카빙’을 아시나요?


정 대표는 현재 푸드카빙 데코레이션 마스터, 과일 플레이팅 마스터, 이벤트 카빙 프로페셔널 인증강사, 한국카빙데코레이션 협회 이사, 한국카빙데코레이션 협회 심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짧은 경력이지만 그녀의 이력이 말해주 듯 수상경력이 화려하다.


▲ 한국국제요리경연대회 개인조각경연 푸드카빙 금상 ▲ 푸드카빙전시 경연대회 금상 ▲ 한국 과일플레이팅 라이브경연 대상 ▲ 전국요리경연대회카빙 라이브부분 금상 ▲ 한국카빙 데코레이션협회 카빙전시경연대회 대상 ▲SweetKorea2017 푸드카빙 전시경연대회 금상 ▲ 2017 한국음식박람회 국회의원상 대상 ▲ 서울푸드페스티벌 서울시장상 대상 등 나열하기 조차 힘들 정도다.


정 대표에게는 푸드 카빙 분야의 경쟁자이자 든든한 동반자로 함께하는 아들 성은창(22) 씨와 제자 선혜원(17)양이 있다. 성 씨 또한 화려한 수상경력으로 엄마 정윤서 씨 못지않은 차세대 유망주다.


‘S광주카빙’ 강사인 성 씨는 요리에 대한 애착이 강하다. 본인이 원해 곡성조리과학고에 진학하고 졸업 후 바로 군에 입대해 군 생활 내내 푸드 트럭에 관련된 책을 섭렵했고 이 분야 전문가로 손꼽혀 푸드 트럭 콘셉트에 대한 문의가 쇄도한다고 한다.


제자 선혜원 양도 1년이 채 되지 않은 경력이지만 각종 대회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역시 정윤서 선생님 제자답다”라는 평을 받고 있다.


정 대표가 호남대 대학원 호텔경영학과에 입학한 이유는 배움에 대한 목마름도 있지만 아들과 제자에게 ‘끊임없이 노력하고 성공하는 모습의 롤 모델’이 되기 위함이 컸다.


‘무엇이든 배워두면 언젠가 쓰임이 있다’라는 그녀의 철학은 ‘푸드 카빙’과 관련된 자격증 이외에도 POP자격증, 웃음치료사 1급, 레크리에이션 지도사 1급 등 10개가 넘는다.


‘아직도 부족하다. 정말 잘하고 싶다’고 말하는 정 대표는 기회가 된다면 카빙 선진국인 중국과 태국의 기술을 배우고 싶다는 포부도 밝혔다.


정윤서 대표는 “호남대 호텔경영학과 대학원 교수님들의 ‘푸드 카빙’에 대한 전문가적인 조언으로 ‘카빙 대중화’를 위한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며 “여건이 된다면 배운 지식과 기술을 재능기부 등을 통해 도움이 필요한 아이들에게 자존감과 희망을 북돋아 줄 수 있는 일을 하겠다”고 말했다.


노해섭 기자 nogary@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