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식약처 "담뱃갑 미표시 발암물질 9개 추가 확인"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9초

식약처 "담뱃갑 미표시 발암물질 9개 추가 확인" [사진=아시아경제DB]
AD


[아시아경제 고형광 기자] 시중에서 판매되는 궐련(연초)담배에는 담뱃갑에 표시된 발암물질 외에도 총 9가지의 발암물질이 더 포함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 2년간 시중에서 많이 팔리고 있는 궐련형 담배(국내 5개 제품)와 전자담배(35개 제품)의 흡연 시 연기를 통해 입안으로 들어오는 유해성분 분석 결과를 11일 발표했다. 정부가 직접 나서 담배의 유해 성분을 분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우선 궐련담배는 니코틴, 타르, 벤젠 등 45개 유해성분에 대해 조사가 이뤄졌다. 그 결과, 궐련담배에서 담뱃갑에 표시되지는 않았으나 국제암연구소(IARC)가 인체 발암물질로 분류한 9개 성분이 추가 검출됐다. 추가 검출된 성분은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카테콜, 스티렌, 1,3-부타디엔, 이소프렌, 아크로니트릴, 벤조피렌, 4-아미노비페닐 등 9개다.

담뱃갑에는 니코틴과 타르, 벤젠, 나프틸아민(1-아미노나프탈렌, 2-아미노나프탈렌), 비닐클로라이드, 니켈, 비소, 카드뮴 등 총 9가지의 유해 성분만 표시돼 있다. 이 중 니코틴과 타르를 제외한 7가지 성분은 발암물질이다. 그러나 이번 조사 결과, 비닐클로라이드와 니켈, 비소, 카드뮴 등 4가지 발암물질은 검출되지 않았다. 식약처 관계자는 "외국 담뱃갑에 표시된 성분을 국내 담뱃갑에 그대로 옮겨 표시하다 보니 실제 검출된 유해성분이 담뱃갑에 표시된 내용과 차이가 있었다"며 "조사된 궐련담배에선 담뱃갑에 표시된 3개, 미표시 된 9개 등 총 12개의 발암물질이 검출됐다"고 설명했다. 담뱃갑에 함유량이 표시된 니코틴과 타르는 1개비 당 각각 0.4~0.5mg, 4.3~5.8mg이 검출됐다. 이는 담뱃갑에 표시된 값(니코틴 0.4~0.6mg, 타르 4.5~6.0mg) 이내 수준이다.


전자담배는 35개 제품을 대상으로 인체에 유해하다고 알려진 니코틴, 포름알데히드 등 7개 성분을 분석했다. 흡입되는 연기 중 니코틴 함량은 궐련 담배 1개비 양(10번 흡입)으로 환산 시 0.33~0.67mg으로 궐련 담배와 비슷한 수준으로 조사됐다. 포름알데히드(0~4.2μg), 아세트알데히드(0~2.4μg), 아세톤(0~1.5μg), 프로피온알데히드(0~7.1μg) 등의 함량은 담배 1개비로 환산 시 궐련담배 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아크롤레인과 크로톤알데히드는 검출되지 않았다. 다만 전자담배 액상용액과 흡입되는 연기의 유해 성분을 비교한 결과, 연기로 흡입시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등 주요 유해성분 함량이 액상용액 대비 각각 19배, 11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담배의 액상 중 니코틴 함량은 표시량 대비 87~104%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식약처 관계자는 "조사한 궐련담배 연기에 함유된 45개 유해물질에 대해 각 성분별로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해 이르면 올해 말 공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또한 "이번 분석결과를 기획재정부, 보건복지부 등 관계부처에 공유해 제품관리와 금연정책 등에 활용토록 하고 성분표시, 분석법 개선 등에 대해서는 해당 부처와 협의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고형광 기자 kohk010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