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벼랑 끝 자영업자②]"만만한 게 치킨집? 함부로 덤볐다가 '쪽박'"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32초

어느 치킨집 사장의 하소연…"개업 3개월 만에 3000만원 적자"
AI에 브라질산 닭고기 파동까지…14평 가게, 월세 250만원 내기도 빠듯
생닭값, 전년비 8% 올라 4000원대… "한 마리에 1만원인데 팔아서 뭐 남나"

[벼랑 끝 자영업자②]"만만한 게 치킨집? 함부로 덤볐다가 '쪽박'" 치킨 프랜차이즈들의 기업아이덴티티(CI)(아시아경제 DB)
AD

[아시아경제 오주연 기자]"자영업을 생각하는 이들이 가장 쉽게 생각하는 업종이 치킨집이잖아요. 제가 열어봐서 아는데 절대 지금은 뛰어들지 마세요."


지난해 12월 강북구에서 치킨전문점을 연 조모씨는 개업한 지 3개월밖에 되지 않았지만 '오픈발'은커녕 매달 적자만 내고 있다며 치킨집을 하려는 이들이 있다면 말리겠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조씨는 총 투자금 1억원을 들여 14평 남짓한 자리에 A프랜차이즈 치킨전문점을 차렸다. '한 집 걸러 치킨집'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이미 시장은 포화상태라고는 하지만, 일반 식당처럼 손이 많이 가지 않고 전문적인 기술이 없어도 손쉽게 조리할 수 있다는 점을 상기하면 치킨만한 게 없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개업하기 전에 상권분석을 할 때부터 이미 치킨집 5개가 인근에 몰려있다는 것을 알았지만,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가까이 있어 크게 개의치 않았다.


그러나 개점 직후 터진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문제였다. AI발생 초기에는 '익혀먹으면 문제없다'는 학습효과가 있어 매출에 큰 영향이 없는 듯 보였지만, 이후 계란값 파동 등 AI 이슈가 2개월 가량 지속되면서 매출도 점차 줄기 시작했다. AI가 겨우 진정국면에 들어서나 싶더니 이번에는 브라질산 부패닭 이슈가 터지면서 또다시 직격탄을 맞았다.

조씨가 운영하는 A프랜차이즈는 국내산 닭만 100% 사용하고 있어 브라질의 문제가 된 BRF 부패닭과는 전혀 상관이 없었다. 아무리 매장 곳곳에 '국내산 100%'라고 써붙여놔도 소비자들의 불신은 되돌리기 어려웠다. 먹거리 공포심을 조장한 언론도 문제라고 그는 꼬집었다. 모든 브라질산이 문제가 있는 것도 아닌데 무조건 몰아세우는 통에 수입산 닭은 물론 국내산까지도 믿지 못하는 분위기가 만들어졌다는 설명이다.


이 사이 조씨의 매장은 갈수록 적자를 이어갔다. 하루에 50만원씩은 팔아야 본인 인건비는 못 건져가도 가게는 유지하는데, 현재 하루 매출은 30만원대에 불과하다.


조씨는 "14평짜리에 매달 250만원에 부가세와 관리비까지 별도로 내고 있다"면서 "전기, 가스요금만 30만~40만원인데다가 수도비가 8만~10만원, 인건비는 1명 아르바이트생을 고용하고 있어 200만원씩 들어간다"고 말했다.


고정비만 500만원가량이 드는 셈이다. 매출이 어느 정도 나올 때에는 이 정도의 고정비는 감당할 수 있지만, 최근 경기상황으로는 매달 적자를 내고있어 3달 만에 3000만원 손해를 봤다.

[벼랑 끝 자영업자②]"만만한 게 치킨집? 함부로 덤볐다가 '쪽박'"


원가 부담도 크다. 순살치킨의 경우, 국내산 닭다리 순산을 사용하고 있는데 AI이후 올해부터 공급가격이 8% 가량 올랐다. 한 번 오른 공급가는 1년 동안 유지되기 때문에 중간에 닭값이 안정돼도 납품받는 가격은 변동이 없을 전망이다.


이에 생닭 1㎏짜리 하나가 4000원 중반대에 들어온다. 조씨가 운영하는 프랜차이즈의 치킨 한 마리 가격은 1만원 수준. 원가의 40%가 생닭 값이다. 최근 정부가 생닭값이 1600원대로 1만6000원짜리 치킨의 경우 원가의 10%에 불과해 AI로 인한 가격인상은 자제해야한다고 한 것에 대해 조씨는 "현실을 모르는 소리"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주류값도 부담이다. 원가는 8% 올랐는데 생맥주는 300cc에 2500원으로 전혀 올리지 못하고 있다.


여기에 창업 당시 빌렸던 대출금 이자도 올해부터 큰 폭으로 올라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조씨는 "창업지원자금을 대출받아 이자도 내고 있는데 작년까지 5%였던 고정금리가 최근 변동금리로 바뀌고 6.8%까지 올라 체감하는 부담은 더욱 크다"고 말했다.


조씨는 "매장 규모가 적은 '소자본창업'에 쉽게 뛰어들 수 있는데 규모의 경제에서 밀릴 수 있고, 또한 가격대비성능(가성비)가 뛰어나다고 유행타는 프랜차이즈 업종들도 결국 점주들만 뼈 빠지게 일만하고 이익률은 낮을 수 있다"며 "자영업을 준비하려고 한다면 지금은 하지 말라고 말리고 싶다"고 말했다.




오주연 기자 moon170@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