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뜨거운 가을야구, '돈 잔치'가 기다린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9초

와일드카드 1·2차전, 준PO 1차전 매진
지난 시즌 PO 5차전부터 9경기 연속 '완판'
포스트시즌 진출 팀에 배당금, 작년 우승 두산은 18억 받아

뜨거운 가을야구, '돈 잔치'가 기다린다 잠실 야구장 전경[사진=김현민 기자]
AD


[아시아경제 김흥순 기자] 프로야구 포스트시즌이 '완판'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2016 타이어뱅크 KBO 포스트시즌은 쾌조의 출발을 보였다. 10~11일 잠실구장에서 열린 LG 트윈스와 KIA 타이거즈의 와일드카드 결정 두 경기가 모두 매진됐다. 경기당 2만5000장씩 모두 5만장의 티켓이 전부 팔렸다. 13일 고척 스카이돔에서 한 넥센 히어로즈와 LG의 준플레이오프 1차전(1만6300석)도 장사진을 이뤘다. 지난해 10월 24일 창원 마산구장에서 열린 NC 다이노스와 두산 베어스의 플레이오프 5차전(1만1000장) 이후 아홉 경기 연속 매진을 기록했다.


가을야구 진출 팀은 성적과 흥행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동시에 주머니도 두둑해진다. 한국야구위원회(KBO)가 포스트시즌 입장수익을 순위에 따라 차등 배분하기 때문이다. 전체 입장수익금 중 제반 경비, 야구발전기금 등 약 40%를 제외한 금액이다. 정규시즌 우승 팀이 20%를 받고, 남은 돈에서 50%를 한국시리즈 우승 팀이 가져간다. 준우승하면 25%, 플레이오프에서 탈락하면 15%, 준플레이오프에서 탈락하면 10%를 각각 받는다. 정규시즌과 한국시리즈를 모두 제패하는 팀이 배당금의 60%를 가져가는 셈. 반면 와일드카드 결정 경기에서 탈락한 팀은 빈손으로 돌아간다.


올해 가을야구는 서울을 연고로 하는 팀들의 축제다. 잠실구장을 홈으로 쓰는 두산과 LG에 고척 스카이돔이 안방인 넥센까지 세 팀이 올랐다. 서울 구단 세 팀이 모두 포스트시즌에 오른 건 2013년 이후 3년 만이자 역대 두 번째다. 당연히 많은 배당금이 기대된다. 두산은 21년 만에 정규시즌을 제패하며 가장 많은 관중(116만5020명)을 모았다. LG는 두 번째(115만7646명)로 많았다. 목동구장에서 둥지를 옮긴 넥센도 수용인원이 1만2500명에서 1만7000명으로 증가해 누적관중이 지난해보다 53%(51만802명→78만2121명) 늘었다.


지난해 포스트시즌 입장수익은 모두 76억9269만600원(15경기). 한국시리즈에서 우승한 두산은 제반 비용과 정규시즌 우승 팀 삼성 라이온즈에게 돌아간 배당금을 제외하고 남은 약 36억 원 중 절반인 18억 원을 챙겼다. 포스트시즌 입장수익이 가장 높았던 해는 2012년이다. 열다섯 경기에서 모두 103억9222만6000원을 벌었다. 관중석이 가장 많은 사직구장(2만8500석)의 롯데 자이언츠와 두 번째로 많은 인원을 수용하는 SK 와이번스(2만7000석)에 두산까지 가세해 관중 동원이 유리했다. 서울 구단들이 모두 합류한 2013년의 수익도 만만치 않다. 역대 두 번째로 많은 92억366만7000원(16경기)이다.




김흥순 기자 spor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