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폭염 땐 급성심정지 14% 증가…오후 5시 피크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8초

[아시아경제 지연진 기자]폭염으로 인한 갑자기 심장이 기능을 멈추는 '급성심정지'가 14%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대병원 오세일·분당서울대병원 강시혁 교수팀은 2006년부터 지난 2013년 서울과 6개 광역시(부산·대구·인천·광주·울산)에서 발생한 급성심정지 환자 5만318명을 분석한 결과 급성심정지 발생이 가장 낮은 하루 최고기온 28도에서 1도씩 올라갈 때마다 급성심정지 발생이 1.3%씩 증가했다고 28일 밝혔다.

특히 65세 이상 노인은 폭염에 더 취약한 것으로 확인됐다.


낮 최고기온이 33도 이상으로 올라가는 폭염은 탈수와 전해질 불균형, 신장 기능 이상, 자율신경계 불균형, 혈전 발생 등 여러 생리적인 불균형이 발생한다. 특히 심혈관계가 취약한 이들에게는 이런 변화가 급성심정지와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다. 체온이 올라가면 혈관을 확장해 땀을 배출시키는 데 넓어진 혈관에 혈액을 공급하기 위해 심장이 무리하게 된다.

심정지 환자를 시간대 별로 분석해보면 폭염이 아닐때는 오전 9시를 전후해 급성심정지 발생이 많았던 반면, 폭염일 때는 그 시간이 오후 5시경 피크를 보였다.


국내에서 발생하는 급성심정지는 2006년 37.5명(인구 10만 명당)에서 2010년 46.8명으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오세일 교수는 “폭염경보나 폭염주의보가 발효되면 낮시간 야외 활동을 삼가하고, 물을 충분히 섭취할 것”과 “심혈관계 질환이 있는 환자의 경우 이상신호를 느끼면 지체 없이 병원을 방문해 건강 상태를 확인할 것”을 당부했다.


이 연구논문은 국제심장학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Cardiology) 7월호에 게재됐다.




지연진 기자 gyj@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