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韓기업, 이란 전자주민증 시장 뚫었다…5년간 5천만弗수출 기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7초

韓기업, 이란 전자주민증 시장 뚫었다…5년간 5천만弗수출 기대 김동영 SME 네트웍스 대표, 모하메드 호자티 이란 내무부 산하 보안문서생산센터 이사장(왼쪽 세번째와 네째) 등 양국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AD

-2년 8개월 지원바탕… 대통령순방 상담회 참가가 결정적
-1차로 올해 1천만개 전자주민증 칩 공급…5년간 5천만불 기대


[아시아경제 이경호 기자]한국기업이 이란 전자주민증 시장을 개척하는 데 성공했다.


KOTRA는 3년 가까이 진행된 본사-무역관 지원과 5월 이란 경제사절단의 삼각지원에 힘입어 ID솔루션 전문기업인 SME네트웍스(대표 김동영)가 이란 전자주민증과 전자여권 시장에 150억원 어치 수출에 성공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계약을 통해 SME네트웍스는 연말까지 우선 1000만개를 공급하며, 2021년까지 5년간 총 6000만 개의 전자주민증용 칩을 공급하게 된다. 이란 정부의 전자주민증 공급 프로젝트는 현재 진행 중인 6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2016-2021)에 포함됐고, 5년간 전체 인구 8000만 명 중 6000만 명이 전자주민증 발급대상이다.


이번 프로젝트는 기술적인 운영시스템, 응용솔루션, 개인정보 등에 대한 보안이 중요하여 한번 공급계약자로 선정되면 장기 공급하게 되는 특수한 분야로 향후 5년간 5000만달러의 수주를 확보하게 됐다.


이번 수주는 2년 8개월에 걸친 KOTRA의 지원과 올해 5월에 열린 한-이란 일대일 상담회 참여가 결정적 계기가 됐다고 KOTRA는 전했다. 2013년 10월 프로젝트 발굴 후 KOTRA 지원으로 현지 발주처 면담이 가능했고, 연이은 발주처 방한 초청과 KOTRA IT수출애로상담 지원을 통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5월 대통령 이란 순방 시 일대일 상담회에서의 막판 협상은 그 동안 지지부진하던 협상에 매듭을 짓게 해주었다.


SME네트웍스는 2011년 이란 전자여권 시장에 먼저 진출했으며, 미국이 대(對)이란 금융제재를 실시하면서 대부분의 기업이 사업을 철수할 때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결합한 보안 솔루션을 내세워 이란 시장을 계속 노크해왔다. 계약 전까지 유럽 기업들과 치열한 경쟁이 있었지만 조급해하지 않고 철저한 준비를 할 수 있었던 것도 야바시 문화 같은 이란 비즈니스를 잘 이해했기 때문이다.


김재홍 KOTRA 사장은 "이번 계약은 종업원 8명에 불과한 우리 중소벤처기업의 우수한 기술, 가격경쟁력, 경제제재를 뛰어넘어 쌓아온 신뢰, KOTRA의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지원 및 정상외교 후광효과가 모두 어우러진 쾌거"라고 평가했다.


KOTRA는 UN평가(격년제)에서 2010년 이후 3회 연속 1위를 차지한 우리 전자정부 및 e-ID(전자신분증) 기술력을 활용해 베트남, 방글라데시 등 동남아 지역으로까지 진출 지역을 확대할 계획이다.




이경호 기자 gungh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