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폐암 약제 내성 원인 규명…표적치료제 개발된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6초

연세암병원 연구팀 실마리 제시해

[아시아경제 정종오 기자] 연세암병원 연구팀이 난치성 폐암의 약제 내성 원인을 규명해 새로운 표적치료제 개발을 제시했다.


폐암 약제 내성 원인 규명…표적치료제 개발된다 ▲연세대 의과대학 조병철(좌)·김혜련 교수.
AD

연세대 의과대학 조병철·김혜련 교수팀(연세암병원 종양내과)이 'BRAF V600E 유전자 돌연변이 비(非)소세포폐암' 환자의 항암제 내성 원인을 찾아냈다. 폐암 환자들은 암세포의 유전자 돌연변이가 각각 다르다. BRAF V600E 유전자 돌연변이 환자는 전체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1.3%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BRAF V600E 유전자 돌연변이 폐암환자에게는 악성 피부암의 일종인 흑색종 치료제로 쓰이던 '다브라페닙(Dabrafenib)'을 표준 약제로 사용하고 있다. 이 약제는 치료반응은 좋은데 치료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약물 내성이 생겨서 결국 치료 효과가 감소해 의료진의 큰 고민이었다.


조병철·김혜련 교수팀은 다브라페닙에 의해 활성화가 억제된 암세포 내 'ERK 효소(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재(再)활성화가 되어 약물에 내성을 보이는 반응에 주목했다.

재활성화 원인을 찾기 위해 연구팀은 세포와 동물실험(마우스)을 통한 다양한 비교 분석연구를 통해 '상피세포성장수용체(EGFR,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의 활성으로 유도되는 'RIP2 효소(Receptor-interacting serine/threonine-protein kinase 2)'가 ERK 효소를 자극해 재활성화시키는 것을 찾아냈다.


조병철 교수는 "다브라페닙에 내성이 생긴 난치성 BRAF 변이 폐암환자의 경우 RIP2 효소의 활성화에 따라 재활성화되는 ERK효소를 억제시키는 '표적 약제'를 같이 사용하는 것이 약물 내성을 극복하는 방법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RIP2 효소 활성화 과정을 억제하는 '표적 약제' 개발을 통해 난치성 폐암 환자의 새로운 맞춤형 항암약물 치료 즉 '환자 개인별 맞춤 표적치료'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정종오 기자 ikokid@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