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北 2월발사 장거리미사일 위성보호장치 없어"..위성 발사 목적과 배치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1초

[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 북한이 지난 2월7일 발사한 장거리미사일 페어링(덮개)를 분석한 결과 위성 호보를 위한 장치가 전혀 발견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같은 조사 결과는 북한이 인공위성을 발사했다기 보다는 탄도미사일 발사 실험을 했다는 것임을 간접적으로 방증한다.


군사 전문가는 27일 "북한이 2월에 발사한 장거리미사일의 페어링 잔해물에서 위성을 보호하기 위한 충격, 진동, 그을음 대책 등이 전혀 없었다"고 말했다. 북한이 정말 위성발사를 목적으로 했다면 위성을 보호하기 위한 페어링에 진동 충격 방지 장치와 발사 시 발생하는 소음으로부터 보호할 '음향담요' 장치 등이 필요한데 이같은 장치를 찾을 수 없다는 설명이다.

더욱이 이 관계자는 수거된 페어링 안에는 화약 폭발 흔적도 발견됐다고 언급했다.


이 외에도 북한이 성공 발사를 주장하는 광명성 4호는 한 차례 송출신호가 확인된 이후 신호가 확인되지 않고 있다. 위성으로서 정상적인 임무 수행을 하지 않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북한의 주장대로 광명성 4호가 관측기능을 수행하려면 지상관제소와 교신이 이뤄져야 하기 때문이다.

이같은 결과를 토대로 군사전문가는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가 위성개발 목적이 아닌 탄도미사일 개발을 위한 발사임이 드러났다"고 설명했다.


이 외에도 군사 전문가는 잔해물 분석 결과 이번 장거리 미사일이 2012년 12월에 발사한 장거리 미사일과 거의 동일한 것으로 평가했다. 두 미사일의 1단 엔진 노즐의 직경, 중간단의 직경 및 길이 등도 일치했으며 가속모터도 동일하다는 분석이다.


다만 이번 장거리 미사일은 2012년과 달리 부식방지용 불소성분이 연료에 첨가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와 관련해 군사 전문가는 "불소성분이 들어가면 연료를 좀 더 오래 보관할 수 있다"고 밝혔다.




양낙규 기자 if@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