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KPMG "토요타, 5년내 가장 높은 시장점유율 상승 기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9초

[아시아경제 최동현 기자] 글로벌 자동차산업에서 앞으로 5년동안 시장점유율 상승이 가장 기대되는 기업으로 토요타(58%), BMW(57%), 폭스바겐(56%), 현대ㆍ기아차(50%)가 상위권에 선정됐다.


회계·컨설팅자문사인 KPMG 인터내셔널은 최근 이같은 내용을 담은 글로벌 자동차산업의 동향을 분석한 'Global Automotive Executive Survey 2016'을 발간했다고 18일 밝혔다.

토요타와 BMW는 전기차와 자율주행 등 혁신기술을 선도하는 리더로서 시장지배력을 공고히 하고 있고, 폭스바겐은 연비조작 사건에도 불구하고 중국시장에서 지배적인 지위를 유지함에 따라 여전히 상위권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된다.


현대ㆍ기아차는 친환경 전용차, 고급브랜드 출시 등 전략모델배치 등을 통해 시장점유율 상승이 기대됐고, 특히 북미지역의 응답자들은 현대ㆍ기아차(55%)의 성장 잠재력을 폭스바겐(54%)과 토요타(49%) 보다 높게 평가하며 1위로 선정했다.

보고서는 앞으로 10년 내 자동차 산업의 주요 사업모델에 큰 변화가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응답자의 50% 이상은 2025년까지 자동차 산업에 가장 영향을 미칠 핵심 트렌드로 '연결성(Connectivity)' 및 '디지털화(Digitalization)'를 꼽았다. 이는 지난해 하위권(10위)에 머물렀던 항목이다.


반면, 지난해 상위권을 차지했던 ‘신흥시장의 성장성’, ‘플랫폼 전략 및 모듈 생산 시스템’, ‘내연 기관의 소형화 및 최적화’는 올해 각각 4위, 8위, 10위로 기록되며 순위의 변동 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지역의 응답자들은 ‘하이브리드 전기차’를 가장 중요한 핵심 트렌드로 선정했고, 이어 ‘수소연료전지차(2위)’와 ‘신흥시장의 성장성(3위)’을 핵심 트렌드로 고려했다.


보고서에서는 자동차 산업에서 기존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업체의 우월한 지위가 확고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35%의 응답자는 기존 OEM 업체인 BMW와 토요타를 미래에도 여전히 획기적인 혁신기업이 될 것으로 보고 있으나 유사한 비율의 응답자(30%)는 구글이나 애플과 같은 정보통신기술(ICT) 업체가 미래의 혁신자가 될 것이라고 응답했다.


흥미로운 점은 기존 OEM 업체의 경영진들은 정보통신기술 업체가 미래에 가장 획기적인 혁신기업(35%)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었으며, 정보통신기술 업체의 경영진들도 자신이 향후 5년 내 혁신리더(53%)가 될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응답했다.


차량 및 고객 데이터의 활용이 점차 중시됨에 따라 데이터 기반 사업모델이 고객을 확보하는 방안으로 강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동차산업 경영진들의 약 70%는 데이터 활용과 정보공학(Informational Engineering)의 적용이 아주 초기단계이거나 전혀 활용되고 있지 않다고 응답했다.


소비자들도 고객 데이터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었으며 데이터 활용에 대한 혜택으로 소비자 응답자의 82%는 금전적인 혜택을 가장 우선적으로 선정했으며, 고객인센티브제도(75%)와 고객수명주기별 서비스(71%)가 뒤를 이었다.


삼정KPMG 자동차산업본부를 담당하는 위승훈 부대표는 “자율주행기술, 스마트카, 친환경 자동차 개발과 같은 기술혁신 및 이종산업과의 융합 등 산업생태계의 급격한 변화의 흐름에서 연결성(Connectivity)에 기반해 파생되는 고객 서비스가 확대될 것"이라며 "이러한 변화를 위기가 아닌 기회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올해 17회째 발간된 본 보고서는 38개국 800명의 자동차산업 분야 경영진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작성됐다. 이번 조사에는 전세계 2123명의 소비자도 설문대상에 포함됐다.


본 설문조사에 참여한 전체 응답자 중 25%는 한국과 일본, 중국이고, 인도 및 동남아시아국가가 16%, 서유럽국과 동유럽국이 29%, 북미와 남미가 각각 13%를 차지했다.


설문기업의 업종은 완성차 업체와 공급업체가 각각 25%로 가장 높았으며, 딜러, 금융서비스업, 모빌리티 서비스 공급자 등 자동차 연관산업 분야에서도 이번 설문조사에 참여했다.




최동현 기자 nel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