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YS 서거]"정치자금 안 받겠다"…촌지문화 근절계기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8초

고위공직자 재산공개·금융실명제로 국민 지지…대선자금·아들 비리 발목잡아

[YS 서거]"정치자금 안 받겠다"…촌지문화 근절계기 김영삼 전 대통령 빈소. 사진=아시아경제 DB
AD

[아시아경제 유제훈 기자] 고 김영삼 전 대통령의 재임기(1993~1998년)는 30여년간 이어져온 군부독재시기의 각종 적폐를 뿌리뽑던 개혁의 시기였다. 특히 '부정부패 근절'을 기치로 내건 김영삼정부의 개혁드라이브는 1990년대 초반을 뜨겁게 달궜던 교사ㆍ기자들의 촌지(寸志) 문화에도 적지 않은 변화를 줬다.


김 전 대통령의 취임 일성은 "재임 중 정치자금을 받지 않겠다" 였다. 김 전 대통령은 지난 1994년 3월4일 기자단과 취임 뒤 첫 간담회를 열고 "(재임기간) 5년 동안 기업인은 물론 일반인에게도 결코 돈을 받지 않을 것"이라고 못 박았다.

반(反) 부정ㆍ부패기조는 말로만 그치지 않았다. 김 전 대통령은 자신과 가족의 재산을 공개한 뒤에 1급 이상 고위공직자 재산공개를 실시했고, 그해 8월에는 금융실명제를 전격 도입해 '검은돈' 뿌리 뽑기에 나섰다.


이처럼 고강도 부정ㆍ부패 근절계획이 시작되면서 5ㆍ6공화국 시절 장영자ㆍ이철희 사건, 수서비리사건 등으로 정치권의 부패에 실망하던 국민들에게 큰 지지를 얻었다. 특히 대선에 적지 않은 공을 세운 김재순 전 국회의장 등 측근들이 재산파동으로 줄줄이 옷을 벗게 되면서 김 전 대통령은 90%를 넘는 전대미문의 지지율을 기록했다.

이같은 반 부정ㆍ부패기조는 민간으로도 확산됐다. 1991년 보건사회부에 출입하던 기자들이 기업들에게 9000여만원에 달하는 떡값 등을 받아 쓴 '보사부 촌지사건' 등 금품수수가 일반화 돼 있던 언론계에서도 촌지 문화가 크게 개선됐다. 아울러 1980년대부터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이 추진해온 '촌지 근절운동'도 탄력을 받았다.


그렇다고 일시에 촌지 문화가 개선된 것은 아니었다. 하지만 김영삼정부 이후 반 부정ㆍ부패기조가 이어지며 교육계와 언론계는 물론 공직사회의 촌지문화가 이전에 비해 크게 개선됐다는 평가가 적지 않다.


다만 김 전 대통령의 부정ㆍ부패 근절대책은 정권 후반부로 가며 빛을 잃었다. 김영삼정부의 황태자로 불리던 김 전 대통령의 차남 현철(56)씨는 1997년 한보비리와 연루돼 뇌물수수ㆍ권력남용 혐의로 구속됐고, 1992년 대선자금 문제도 끊임없이 그의 발목을 잡았다.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