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방사청, 美이전거부 기술 국내개발 선언… 가능할까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6초

방사청, 美이전거부 기술 국내개발 선언… 가능할까 KFX 모형
AD


[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미국이 기술 이전을 거부한 핵심기능 4개의 장비를 방위사업청이 국내개발을 가속화 할 것이라고 밝혔다.

방사청 관계자는 5일 기자들을 만나 "KF-X에 장착될 AESA 레이더의 국내 개발 일정을 가속화하는 방안을 수립 중"이라고 설명했다.


방사청은 KF-X의 초도 양산 단계에서는 제3국 협력으로 개발한 AESA 레이더를 장착하고 후속 양산 단계에서 국내 개발 AESA 레이더를 장착할 계획이었다. AESA 레이더의 국내 개발 가속화는 2020∼2024년으로 예정된 시험개발 2단계 일정을 2017∼2021년으로 앞당기는 것이 핵심이다. 미국이 기술 이전을 거부한 AESA 레이더는 국방과학연구소(ADD) 주관으로 LIG넥스원이 작년 하반기부터 개발에 착수했다.

방사청은 KF-X의 IRST(적외선탐색 추적장비), EO TGP(전자광학 표적추적장비), RF 재머(전자파 방해장비) 등 핵심 장비도 국내 기술로 개발할 계획이다. 방사청은 미국의 기술 이전 거부에도 KF-X 사업이 차질 없이 진행되도록 다양한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측은 지난 4월 이들 기술을 한국에 제공할 수 없다고 공식적으로 거부했다. 방사청은 국내기술, 제3국 기술협력 등으로 이들 장비를 개발하고 국내 기술 또는 국외업체와 기술협력으로 체계통합을 하겠다고 밝혔지만 성공 여부는 아직 불확실한 상황이다.하지만 10년 이내에 이 레이더를 개발하고, 이를 전투기에 들어가는 다른 미국 기술과 체계통합을 제대로 하지 못하면 전투기 개발이 늦어질 수밖에 없다.


정부는 미국의 록히드마틴으로부터 대당 1200억원에 40대의 F-35A를 구매키로하면서 KFX 개발에 필요한 핵심기술 4개와 나머지 21개 기술이전을 요구했다. 당기 기종 선정 경쟁을 벌였던 보잉과 유로파이터 측은 핵심기술 4가지와 체계통합기술을 한국에 제공하겠다고 약속했으나 결국 탈락했다. 미국이 자국 기술보호를 이유로 제3국으로 이전을 제한하는 상황임을 예상하고도 부실하게 대처한 방사청 처신도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양낙규 기자 if@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