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안철수 "부정부패 무관용원칙 적용해야…신당 신경쓸 때 아냐"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3초

[아시아경제 이민찬 기자] 안철수 새정치민주연합 전 공동대표는 20일 "부패 관련자는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영구퇴출시켜야 하며 그 기준은 '원스트라이크아웃제'"라고 말했다.


안 전 대표는 이날 정치 입문 3주년을 맞아 국회 의원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도덕적 우위는 정권교체의 필수조건"이라며 이 같이 말했다. 안 전 대표는 자신이 밝힌 3대 당 혁신 방안인 ▲당내 부패 척결 ▲낡은 진보 청산 ▲새로운 인재 영입 중 '당내 부패 척결'에 대한 구체적 방향을 제안했다.

그는 당 부패 척결 방향으로 ▲무관용 원칙 ▲당내 온정주의 추방 ▲당 연대 책임제 도입을 제시했다. 안 전 대표는 부패 연루자에 대한 무관용 원칙에 대해 "단 한번이라도 유죄가 확정되면, 확정된 날부터 자진탈당을 안 할 경우 제명조치를 즉시 해야 한다"며 "피선거권 및 공직취임권을 영구 제한하고 30~50배 과징금을 물게 하는 등 당이 주도적으로 부패척결에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안 전 대표는 이어 "(당) 윤리심판원이 강화되고도 상황이 달라지지 않았다"며 "제 역할을 다하지 못하는 윤리기구와 이를 방관하는 당 지도부에 강력한 이의를 제기하지 않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특히 "최근 대법원 판결까지 불복하는 우리 당 태도는 일반 국민의 정서에 비쳐 전혀 설득력이 없다"며 한명숙 전 총리의 대법원 유죄 판결에 대한 당 지도부의 태도를 정면으로 비판했다.

그는 부패에 대해 당이 연대책임을 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 전 대표는 "부패지수를 만들어 각 정당의 반부패 성적에 따라 국고지원금을 연동 지원하도록 정치자금법을 개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공직자로서 부적절한 언행과 일탈은 부패의 또 다른 이름"이라며 막말 의원들에게도 반부패 원칙을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안 전 대표는 지난 2012년 9월19일 대선 출마 선언을 하고 정치권에 입문한 지 3주년이 된 것과 관련, "지금부터 3년 전 정치를 바꾸라는 국민적 여망을 안고 정치에 입문했다"면서 "그렇지만 저는 그 기대에 부응하지 못했다. 저의 부족함을 탓해달라. 제 힘, 제 능력이 그 벽을 넘어서기엔 부족했다"고 말했다.


안 전 대표는 이날 신당 창당을 공식 선언한 천정배 의원에 대해선 "지금은 당이 혁신하는 것이 무엇부도 중요하지 다른 외부 동향에 신경 쓸 때가 아니다"며 신당 합류 가능성을 일축했다.




이민찬 기자 leemi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