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공기업·공공기관, 3명중 1명 '관피아'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5초

기관장·감사, 자체 승진 고작 18%…관료 출신 221명
직속 주무부처, 청와대, 판검사 출신이 주요 낙하산 부대

공기업·공공기관, 3명중 1명 '관피아'
AD


[아시아경제 박미주 기자]국내 340개 공기업과 공공기관에서 자체 승진으로 기관장과 감사에 오른 사람은 10명 중 2명도 채 안 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나머지는 모두 주무부처나 정계 등 권력기관에서 선임된 ‘낙하산’ 인사로 나타났다. 특히 주무부처가 퇴직관료를 내려보낸 소위 ‘직속 낙하산’이 15.4%에 달해 관피아 인사 관행이 여전했다.

16일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에 따르면 국내 340개 공기업과 공공기관의 현직 기관장·감사 689명의 출신 이력을 전수 조사한 결과 공공기관에서 자체 승진한 기관장·감사는 125명으로 전체의 18.1%에 불과했다.


이중 기관장은 326명중 93명으로 28.5%에 달했으나 감사는 363명중 32명으로 8.8%에 그쳤다. 낙하산 인사가 기관장보다 감사에 집중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반면 관료 출신 인사는 총 221명으로 전체의 32.1%에 달했다. 3명 중 1명은 '관피아'인 셈이다. 이중 기관장은 116명, 감사는 105명으로 각각 35.6% 28.9%의 비중을 나타냈다.


관피아 기관장은 자체 승진 기관장보다 23명 더 많았다. 감사는 관피아가 내부승진자의 3배 이상에 달했다.


관피아 중에서도 기관장은 해당 기관의 직속 주무부처 출신 관료가 75명(64.7%)으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감사는 청와대 등 비직속 주무부처 낙하산이 74명(70.5%)으로 다수를 이뤘다.


부처별로는 산업통상자원부 출신이 기관장 12명, 감사 3명 등 총 15명(6.8%)으로 가장 많았다. 이들은 에너지관리공단, 한국석유관리원,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전력공사, 한국무역보험공사 등 산하기관 기관장 자리를 꿰찼다.


미래창조과학부 출신으로는 기관장 10명, 감사 4명 등 총 14명(6.3%)이 정보통신산업진흥원,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 우체국시설관리단 등에 포진해 있었다.


다음은 농림축산식품부 8명(3.6%), 해양수산부 7명(3.2%) 문화체육관광부 6명(2.7%) 순으로 관피아를 양산했다. 교육부, 국토교통부, 보건복지부, 특허청등 4개 기관은 각 5명(2.3%)씩을, 고용노동부 외교부 중소기업청등 3개 기관은 각 4명(1.8%)씩을 내보냈다.


나머지 115명(52.0%)의 기관장·감사는 직속 주무부처는 아니지만, 법조·청와대·감사원·기획재정부 등 소위 ‘팔방미인’ 권력기관 출신이었다.


판검사 등 법조 출신(27명·12.2%)과 청와대 출신(26명·11.8%)이 주류를 이루는 가운데 감사원(11명·5.0%)과 기획재정부(8명·3.6%)출신이 뒤를 이어 ‘4인방’을 형성했다.


관료 출신 다음으로 공기업·공공기관의 단골 낙하산은 학계 출신으로 총 115명(16.7%)에 달했다. 이어 재계 60명, 세무회계 58명, 정계 40명 등의 순이었다.

공기업·공공기관, 3명중 1명 '관피아'




박미주 기자 beyond@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