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스페이스]멀고도 가까운 화성…생존 가능 지역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0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화성정찰위성, 마리네리스 협곡 하나의 후보지로 꼽아

[스페이스]멀고도 가까운 화성…생존 가능 지역은? ▲화성의 마리네리스 협곡.[사진제공=NASA]
AD


[아시아경제 정종오 기자] 붉은 행성 화성에
인류의 생존지역
마리네리스 협곡
<#10_LINE#>
화성정찰위성(Mars Reconnaissance Orbiter, MRO)이 10년을 맞았다. 2005년 8월12일 발사된 MRO는 그동안 화성 지역 곳곳을 고해상도이미지장치(HiRISE)를 통해 정찰해 왔다. 이중 가장 큰 성과는 가파른 경사 지역이 있는 마리네리스 협곡(Valles Marineris)이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분석한 결과 협곡의 어두운 면을 뜻하는 'RSL(Recurring Slope Lineae)'은 계절별로 나타났다, 사라졌다를 반복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추운 겨울철에는 희미해지면서 없어졌고 더운 여름철에는 다시 나타나는 식이었다.


나사 측은 미래의 화성 탐험자나 정착자 등이 마시고, 음식을 재배하고, 산소를 만들기 위해서는 반드시 '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로켓 연료를 만들기 위해서도 물은 절실하다. 지구에서 물을 공급하면 되겠는데 이는 엄청난 비용이 들어간다. 화성에 있는 물을 이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화성의 고위도 지방에는 얼어붙어 있는 물이 풍부한데 극도로 추운지역이어서 인류가 생존하기 어려울 것으로 진단됐다. 적도지역에 있는 물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이런 측면에서 마리네리스 협곡은 가장 좋은 목적지 중 하나이다. 문제는 마리네리스 협곡에 있는 물의 화학적 성분이 어떻게 구성돼 있는지 부터 먼저 파악이 돼야 한다.


한편 국제우주정거장(ISS)에 머물고 있는 우주비행사 스콧 켈리가 최근 ISS에서 찍은 한 장의 석양 사진에 눈길이 끌린다. 해가 지고 있고 지구가 붉은 행성으로 변하는 모습이다. 마치 '화성의 모습'을 띤 지구처럼 다가와 관심을 모았다.

[스페이스]멀고도 가까운 화성…생존 가능 지역은? ▲스콧 켈리가 촬영한 우주에서의 석양. 지구가 붉은 모습을 띠면서 마치 화성처럼 보인다.[사진제공=스콧 켈리/NASA]






정종오 기자 ikokid@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