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기자수첩] 인천 남동구의 노사 갈등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4초

[아시아경제 박혜숙 기자] “공무원들이 잘못된 관행과 구태에서 벗어나야 한다”vs “구청장의 독선적인 행정이 문제다”


인천 남동구에서 구청장과 공무원노조가 구청장과 수개월 째 볼썽사나운 싸움을 이어가고 있다. 어느 한쪽에 책임을 묻기엔 여러 현안이 얽히고 설켜있지만 양측의 첨예한 대립으로 구정이 파행으로 치닫고 있는 것만은 분명해 보인다.

인구가 53만명에 육박하는 인천 남동구. 인천의 10개 군·구 중 두번째로 규모가 큰 남동구에 요즘 지역사회 이목이 쏠려 있다. 지난해 6·4지방선거에서 기업인 출신으로 당선된 새누리당 소속의 장석현 남동구청장이 취임 후 줄곧 공무원노조와 갈등을 빚더니 급기야는 노조 사무실을 폐쇄하고 노조원들을 검찰에 고발하는 사태로 번지고 있다. 노조는 11일부터 천막농성에 돌입했고 구청장을 비판하는 구민 선전전을 준비하고 있다. 집안싸움이 도를 넘고 있는 것이다.


양측의 갈등은 장 구청장이 취임 후 공직내부의 여러 변화를 시도하면서부터 시작됐다. 장 구청장은 공무원들에게 근무복을 입도록 하고 출퇴근 시 지문인식과 개인별 실시간 업무일지를 작성하게 했다. 이에 공무원들은 “유신시대로 회귀하는 것이냐”고 반발했다. 또 여성사무관 전원을 동장으로 발령하면서 성차별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그는 직원들의 근무복 착용은 친절하고 공정한 직무수행을 위한 것이며, 출퇴근 지문인식 역시 근무시간 준수 등 공직자로서 지켜야 할 기본사항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공무원들이 잘못된 관행과 구태를 과감히 벗어던지고 본연의 역할인 ‘구민을 섬기는 행정’을 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개혁은 때때로 저항에 부딪치는기 마련이고, 근무시간 준수를 중시하는 장 구청장의 인식에 일면 공감하는 부분도 있다. 문제는 일련의 조치를 이행할 당사자인, 공무원들과의 충분한 논의와 설득작업이 부족했다는 점이다.


게다가 청사 2층에 있던 노조 사무실을 지하로 옮기라고 했으나 노조가 이를 거부하자 사무실을 아예 폐쇄했다. 심지어 노조 간부들을 대거 동사무소로 발령내 갈등을 더 키웠다. 시민단체들은 공천 책임을 묻겠다며 새누리당 인천시당에 화살을 돌리고 있다. 시당이 나서 갈등을 봉합하지 않으면 주민소환제 등 구청장의 독선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겠다고 경고하고 나섰다.


시민단체가 누구의 편에 더 서있든, 현재 여론의 분위기로는 장 구청장이 불리한 모양새다. 어쩌면 다음 선거를 의식않고 자신의 판단을 믿고 밀어부치는 뚝심을 높게 평가해야 할 지도 모른다. 하지만 한편으론 기업인 출신의 장 구청장이 오너의 판단과 추진력이 절대적인 기업과 구정을 혼동해 소통을 덜 중요시하는 것은 아닌지 우려가 더 많다.


새로운 변화를 받아들이지 못한 공무원노조 역시 한 발 양보가 필요하다. 양측 모두 ‘맞불 대응’에 혈안이 돼 있을 뿐이다. 기싸움하느라 행정력을 소진하게 되면 결국 공공서비스 질이 저하된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박혜숙 기자 hsp066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