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NHN엔터, '페이코' 8월 출시…"온오프 어디서든 터치로 결제"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5초

NHN엔터, '페이코' 8월 출시…"온오프 어디서든 터치로 결제"
AD


NHN엔터 다음달 1일 간편 결제 시스템 '페이코' 출시
온오프라인 20만개 가맹점에서 간편하게 이용 가능
게임, 벅스 뮤직 등과 서비스 연계해 이용자들에게 혜택 제공

[아시아경제 안하늘 기자] NHN엔터테인먼트가 다음달 1일 간편 결제 시스템 '페이코'를 출시한다. 페이코는 온라인 뿐 아니라 오프라인에서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간편결제 시스템이며 현재 확보한 가맹점 수만 20만곳에 달한다.


30일 소공동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페이코 출시 기자담회에서 김동욱 NHN엔터 페이코사업 본부장은 "페이코를 통해 온오프라인 어디서든 터치로 결제하는 문화를 만들겠다"며 "올해 말까지 500만명의 이용자를 확보하는 것이 목표"라고 했다.

페이코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스마트폰만으로 물건을 구입하거나 송금할 수 있는 간편결제 서비스다.


페이코는 신용·체크 카드 결제, 휴대폰 결제, 계좌이체, 무통장 입금, 쿠폰, 포인트 결제 등 다양한 수단을 이용해 결제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3중 부정거래방지시스템(FDS)을 구축했다.


오프라인 결제는 근거리무선통신(NFC) 방식이다. 이용자들이 스마트폰에 페이코 애플리케이션(앱)을 설치해 신용 및 체크카드, 티머니 등 사용할 간편 결제 수단을 등록한 후 결제 시 각 상점에 비치된 티머니 단말기에 스마트폰을 갖다 대면 결제가 완료된다.


NHN엔터는 한국사이버결제, 한국스마트카드(티머니)와의 제휴를 통해 CJ몰, Hmall 등 10만여개의 온라인 가맹점과 스타벅스, 파리바게트 등 10만여곳의 오프라인 가맹점을 확보했다. 또 지하철이나 버스, 택시 등 대중교통에서도 페이코를 이용할 수 있다.

NHN엔터, '페이코' 8월 출시…"온오프 어디서든 터치로 결제" '페이코'의 비전을 설명하는 김동욱 NHN엔터테인먼트 페이코사업본부 본부장


NHN엔터는 삼성페이, 네이버페이 등 먼저 서비스를 시작한 타 업체들과 경쟁하기 위해 다양한 마케팅을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반기에만 250억원 규모의 마케팅비를 투입할 계획이다.


김 본부장은 "NHN엔터의 게임, 뮤직 서비스 등과 함께 마케팅을 벌여 이용자들에게 다양한 혜택을 제공해 고객을 유치할 것"이라며 "가맹점들에게도 수수료를 할인해주거나 마케팅 지원을 해주는 방법을 제시
할 것"이라고 했다.


오프라인 결제는 9월부터 시행되며, NHN엔터는 자체 페이코 결제단말기를 제작해 오는 2017년까지 약 30만대를 배포할 계획이다.


또 NHN엔터는 단말기 보급을 확대하기 위해 결제 단말기를 타 간편 결제 서비스에도 개방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최대한 많은 범위에 페이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겠다는 계획이다.


한편 NHN엔터는 지난해부터 새로운 사업분야로 전자상거래에 주목하고 티켓링크, 전자지급결제대행(PG)업체 '한국사이버결제', 티머니 운영업체인 '티모넷', 네오위즈인터넷 등의 지분을 차례로 인수하며 시장 진입을 위한 준비를 진행했다.


다음은 김 본부장과의 일문일답이다.


-단말기를 경쟁 업체와 공유한다고 하는데 어디랑 하는지?
▲아직까지 파트너들과 구체적으로 이야기를 나눈 단계는 아니다. 앞으로 3~4업체 정도와 함께 협의해 전체 판을 키울 예정이다.


-타 간편결제 서비스에 비해 소비자에게 어필할 수 있는 부분은?
▲NHN엔터가 가지고 있는 서비스와 페이코를 자연스럽게 연동할 것이다. 결제한 금액만큼 게임 포인트로 제공하거나 벅스 뮤직 이용권으로 바꿔줄 수 있다.


-가맹점들에게는 어떤 부분에서 메리트가 있나?
▲다른 시스템과 비슷한 수준이거나 조금 낮은 수준의 수수료를 제시할 계획이다. 또 광고나 마케팅을 효율적으로 돕고 페이코로 결제하면 이용자들에게 할인을 해주는 등의 프로모션을 진행할 계획이다.


-페이코의 수익구조는?
▲페이코 자체만으로 당장 수익을 거두겠다는 계획은 없다. 간편 결제를 하는 습관을 보급하면 이것을 통해 다른 서비스와 연계해 수익을 거둘 수 있다고 생각한다. 우선은 이용자를 확대하는 것이 중요하다.




안하늘 기자 ahn708@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