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한미약품, 또 일냈다…8500억원 규모 폐암신약 기술수출(종합)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1초

[아시아경제 지연진 기자]한미약품이 8500억원대 신약 수출 계약에 성공했다. 지난 3월 미국의 제약사 릴리와 국내 최대 규모의 면역질환치료제에 대한 라이센스아웃 계약을 체결한데 이어 다시 한번 최대 기술수출 기록을 갱신했다.


한미약품(대표이사 이관순)은 28일 독일의 제약사 베링거인겔하임과 내성표적 폐암신약(HM61713)에 대한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으로 한미약품은 계약금 5000만달러(582억원)를 받고, 임상시험과 시판허가 등에 성공할 경우 단계별 라이센스 6억8000만달러(7925억원)가 별도로 들어온다. 한화로 8507억원 규모로, 한미약품의 지난해 매출 7613억원을 훨씬 웃돈다. 또 제품 출시 이후에는 두자릿수 퍼센트의 판매 로열티도 받는다.


베링거인겔하임은 한국과 중국, 홍콩을 제외한 전지역에서 'HM61713'에 대한 공동개발 및 상업화에 대한 독점적 권리를 확보하게된다.

HM61713은 암세포 성장에 관여하는 신호전달물질인 'EGFR 돌연변이'만을 선택적으로 억제해 기존의 치료제를 투약한 후 나타나는 내성과 부작용을 극복한 3세대 내성표적 폐암 신약이다. 현재 임상1상과 2상이 함께 진행 중인 이 약은 임상시험의 중간결과가 지난 5월 미국의 임상종약학회(ASCO)에서 공식 발표된 바 있다.


베링거인겔하임의 외르크 바아트 부사장은 “이번 계약은 폐암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 기회를 제공려는 우리의 비전을 향한 중요한 전진"이라며 "HM61713이 폐암에 대한 혁신적 맞춤 치료제 개발을 위한 우리의 노력을강화하는 계기가 될것”이라고 밝혔다.


한미약품은 올해 잇따라 신약개발의 성과를 내고있다. 지난 한미약품은 지난 3월에도 미국의 제약사 릴리와 6억9000만달러(8000억원) 상당 자가면역질환 치료제에 대한 기술수출 계약을 맺었다. 최근 10년간 쏟아부은 연구개발(R&D) 비용 8000억원을 보상받는 셈이다.


이번 계약은 일정 규모를 초과하는 기술 도입에서 요구되는 미국공정거래법(Hart-Scott-Rodino-Antitrust Improvements Act)의 승인 절차를 남겨두고 있다. 미국은 거래 규모가 일정 기준을 초과할 경우 미국 법무부 의 반독점 및 연방거래위원회에서 사전 신고하고 승인을 거치도록 하고있다.




지연진 기자 gyj@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