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권태신 원장 "韓 주력산업 경쟁력 약화, 산업절벽 대처해야"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7초

권태신 원장 "韓 주력산업 경쟁력 약화, 산업절벽 대처해야" .
AD

[아시아경제 고형광 기자] "우리가 알고 있던 미국의 제너럴일렉트릭(GE)이나 듀폰, 일본의 히타치는 더 이상 없습니다. 사업재편으로 변화를 거듭하는 이들을 쫒아가긴 커녕 지금 우리는 산업절벽이 우려되는 상황입니다."


권태신 한국경제연구원 원장(사진)은 24일 저녁 '전경련 CEO 하계포럼'이 열리고 있는 강원도 평창에서 기자들과 만나 "우리나라가 대표기업의 시가총액과 국가 주력산업 분포 등에서 미국과 중국, 일본 등 경쟁국과의 격차가 눈에 띄게 벌어지고 있다"며 이 같이 말했다.

실제 한경연이 2005년부터 10년간 블룸버그가 발표한 글로벌 시가총액 500대 기업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한국은 2005년 8개에서 올해(7월 22일 기준)는 4분의 1 수준인 2개(삼성전자, 한국전력)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중국(홍콩 포함)은 같은 기간 15개에서 60개로 4배 늘었다. 일본은 2005년 57개에서 올해 33개로 줄었으나, 2010년 이후 그 수를 꾸준히 유지하고 있다.


국가별 경제규모를 감안한 글로벌 500대 기업 수를 비교한 결과에서도 한국의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지난 10년간 시가총액을 기준으로 500대 기업 순위에 든 기업 수를 각국 국내총생산(GDP) 1조원 당 기업 수로 환산한 결과, 우리나라의 경우 2005년 8.9개에서 2015년 1.3개로 약 7분의 1 수준으로 줄었다. 반면 중국은 3.5개에서 4.0개로 13.8% 증가했다. 미국과 일본은 각각 14.9개에서 10.7개로, 12.4개에서 7.6개로 기업 수가 줄었지만, 우리나라의 낙폭이 가장 컸다는 분석이다. 권 원장은 "그만큼 우리 경제 규모에 비해 대표기업 육성이 지지부진하다는 방증"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권 원장은 "대표기업들이 사업재편 등을 통해 새로운 영역에 도전해야 한다"며 GE의 사례를 소개했다. 그는 "제너럴 일렉트릭이 사명인 GE는 가전 등 기존 사업을 다 바꿔 첨단산업, 스스로 생각하는 공장 등 상상을 현실화하는 신산업으로 완전히 옮아가고 있다"며 "이젠 제너럴 일렉트릭이 아니라 어드밴스드 일렉트릭(Advanced Electric)으로 기업명을 바꿔야 할 정도"라고 말했다.


권 원장은 "우리 기업들이 이들 선진 기업과 같이 성공적인 사업재편을 단행하기 위해선 무엇보다 장기적인 투자를 감행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안정적인 경영환경 조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특히 그는 "한국식 오너 경영의 장점을 재조명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오너 있는 기업일수록 장기투자, 위험투자에 대한 결정을 내리기 유리하다는 설명이다.


또한 권 원장은 경영환경을 안정적으로 가져가기 위해 차등의결권, 포이즌필 등 적대적 기업인수합병(M&A) 방어장치 도입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헤르메스나 블랙스톤 등 대표적인 벌처펀드들이 우리나라 30대그룹 주요 계열사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상황에서 제2, 제3의 엘리엇사태가 조만간 현실화될 우려가 크다"며 "대비책 마련을 위해 조속한 제도도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고형광 기자 kohk010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