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이승종의 환율이야기]북한에도 환율이 있을까?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초

정부가 인위적 결정…외국인에게 90배 폭리

[이승종의 환율이야기]북한에도 환율이 있을까? 5000원권 북한 화폐
AD


[아시아경제 이승종 기자] 가깝고도 먼 나라 북한. 북한에도 화폐가 있을까. 화폐가 있다면 다른 나라와의 교역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율도 있을까. 결론부터 말하면 둘 다 있다.

그동안 북한은 물가를 잡는다는 명목으로 수차례 화폐개혁을 단행했다. 가장 최근에 실시한 건 2009년 5차 화폐개혁이었는데, 총 14종의 새 화폐를 제작했다. 지폐는 5원부터 5000원까지 총 9종, 주화는 1전부터 1원까지 총 5종으로 만들었다.


북한의 환율은 과거에는 공정환율·무역환율·비무역환율(여행자환율) 등 3가지로 구분되는 복식환율제였다. 사용하는 용도에 따라 환율을 달리 적용했다는 얘기다. 그러던 것이 2002년 7월 이후부터는 공식환율로 단일화했다.

통일부에 따르면 북한은 환율을 우리나라처럼 시장에서 자유롭게 정해지도록 두지 않고, 나라가 인위적으로 결정한다. 북한은 공식환율이 실제 구매력보다 훨씬 높은 점이 특징이다. 지난해 기준 북한의 대미환율은 1달러당 98.4원이다. 현재 달러원 환율이 1100원 수준이니 환율로만 보면 북한 화폐가 우리나라 원화보다 더 가치가 높은 셈이다.


실제 거래되는 북한 환율은 다르다. 시장에서는 지난달 현재 달러당 환율이 8200∼9000원 선에 이르는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 정부가 발표하는 공식 환율보다 90배 가량 차이가 나는 셈이다. 북한 정부는 자신들 화폐의 실제 가치보다 90배 정도 높게 가치를 매겨 공식 환율을 발표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북한은 왜 실제 가치와는 전혀 동떨어진 공식 환율을 발표하는 걸까. 이유는 최근 자유아시아방송(RFA)이 보도한 내용을 보면 알 수 있다. RFA는 북한 당국이 외국인 관광객들에게 카드만 사용해야 한다면서 북한 돈 환전을 거부하며 현금결제카드인 '나래카드'에 외화를 입금하도록 강요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문제는 현금결제카드에 적용되는 환율이다. 북한 정부가 발표하는 공식 환율을 적용해 나래카드에 외화를 입금하는 것. 외국인은 시장에서 직접 거래하면 1달러를 주고 9000원 정도를 받을 수 있는데, 나래카드에 1달러를 넣으면 100원 정도만 받을 수 있는 것이다. 북한 정부는 나래카드 외국인에게 나래카드 이용을 강요하며 90배 가량 차익을 거두고 있는 셈이다.


[이승종의 환율이야기]북한에도 환율이 있을까? 나래카드



이에 따라 외국 대사관 직원이나 국제기구 관계자, 기업 주재원 등 북한에 자주 드나드는 이들은 시장의 암달러상에게 외화를 환전하고 있다. 주로 외화를 환전하는 시장은 '통일거리시장'과 '릉라시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서 궁금한 점은 북한의 실제 환율은 어디서 어떤 식으로 정해지는 걸까. 중국의 쌀값에 좌우되는 북한 환율, '장마당'이라 불리는 환율 거래 장소 등 관련 내용들은 다음주 '환율이야기'에서 알아보자.




이승종 기자 hanaru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